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1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대 사적지에 대한 빅데이터 지리적 분석

Big Data Geo Analysis for Ancient Historical Places

DOI : 10.55793/jkhc.2022.13.73
  • 102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며 비즈니스, 과학, 통신 등 모든분야에 정보기술(IT)이 적용되고 있다. 텍스트 및 미디어등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역사 분야는 IT를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분야중 하나이다. 이 논문은 역사와 관련된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신 IT 기술을 소개한다. 첫째, 고대 사적지를 찾기 위한 사례로 시공간 분석을 제시한다. 그 예로, 서기 260년경 두유가 언급한 장소인 기자묘를 바이두와 구글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예를 보여 준다. 또한, EXIF를 이용한 지리적 위치 등 메타데이터 사용 가능성을 소개한다.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en moving quickly while computer and Interne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drastically and adopted in all areas such as business, science, communication, etc. History is one of the best areas to use IT because it has massive amounts of historical data, including text and media. The paper introduces the latest technologies that have been used or can be in the area of history. A tempo-spatial analys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to locate ancient historical places. Then, it shows the spots of Gija tomb using Baidu and Google, which is the location mentioned by Du Yu around AD 260.

1. Introduction

2. Present Information Technology for History

3. Tempo-Spatial Analysis Example in Historical Places

4. Conclu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