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20220923171213334.jpg
KCI등재 학술저널

예술 지원 경로에 따른 예술인 삶의 질 효과분석

Research on the Effect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olicy Support Path for Artists

DOI : 10.36234/kace.2022.25.3.85
  • 178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2015년 예술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예술인들의 삶의 질을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중층적으로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술정책만족도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금을 수혜받는집단일수록, 지원금액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활동만족도에 있어서는 공공기관 수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해,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정부지원금을 수혜받거나, 기업후원금을 지원받은 집단일수록, 예술활동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현재 예술계 지원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좋은 편으로 평가받는 수도권일수록, 예술인들의 예술정책만족도는 오히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예술인들의 예술활동만족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통계적(statistical)인효과는 정부지원금이 크지만, 응답자들의 예술활동만족도에 실질적(practical)으로 미치는가시적인 효과는 기업지원금이 더 큰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인들이 사회적 차원에 대해 인식하는 예술정책만족도와, 예술경력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인식 결과로서 예술활동만족도가 실증적으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예술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정책을 위해서는예술인 집단에 보다 특화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Analyzing the data of the 2015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quality of artistic lives at a social and personal level. The analysis first unveil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s policy appears to be high amongst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rts Council Korea,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and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Moreover, the satisfaction level also rises in proportion to the grants they receive. Moreover, artists in performing, visual and popular arts tend to be more content with arts policy than those working in literature. Secon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no meaningful correlation is discovered between the grants and artistic satisfaction in arts activities. In compariso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art activities is manifested by the artists who are given governmental funding from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bodies or corporate grants such as arts funding from Korea Mecenat Association. Meanwhile, artis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deemed to have a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for artistic support,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s arts policy. Such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disparity between artists’ perception of their satisfaction with arts policy and their real satisfaction through individual art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an in-depth analysis of artists be designed more sophisticatedly with multi-layered approaches.

Ⅰ. 서 론

Ⅱ. 기존연구 검토

Ⅲ.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V.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