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 대학 한국어교재에 반영된 쓰기과제와 활동의 유형 분석이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쓰기과제의 유형을 통제작문, 유도작문, 조건작문, 주제작문으로 나누고 세부 활동을 설정하였다. 전체 과제 대비 쓰기과제의 비율은 평균 45.0%이고 유도작문, 통제작문, 조건작문, 주제작문의 순으로 많이 등장하여 대체로 어려운 과제일수록 적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교재의 수준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습 수준에 맞게 쓰기과제 유형이 적용되고 있지 않았다. 통제작문은 단순 반복 연습의 비중이 높아서 유의미한 맥락 구성이 필요하겠다. 유도작문은 모든 수준에 골고루 나타나는데 정확한 문장 구성 연습과 스스로 문장을 창조하는 경험 둘 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주어진 지시에만 맞추는 데서 벗어나 주제작문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조건작문이 매우 부족했다. 유도작문에서 주제작문으로 수준이 급상승하는 경향을 보완하는 과제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types of written tasks, and activities which are integra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Australi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lassified the types of written tasks into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conditioned writing, and free writing and sub-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The average percentage of written tasks were 45.0%. The most common task was guided writing, followed by controlled writing, then conditioned writing, and finally free writing. The frequency of the task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difficulty of the tasks. Yet, considering the level of textbooks, the types of written tasks were not adop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Controlled writing needs meaningful context as it contains many simple and repetitive exercises. Guided writing is integrated equally at all levels, but this needs to be organised to provide exercises with which students compose accurate sentences, and the experiences in which students create sentences by themselves. Conditioned writing is significantly lacking, considering that it encourages learners to move forward from completing tasks according to the given instruction, towards free writing.
1. 서언
2. 한국어교재의 쓰기과제 분석 기준
3. 연구 대상과 방법
4. 교재 분석 결과
5. 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