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NP-으로 V’ 구성의 통사·의미적 특성과 유형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NP-으로 V’ Structure

본고는 ‘NP-으로 V’형 복합서술어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피고, 유형 분류의 기준을 설정한 후, 논항구조에 따라 유형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즉, ‘NP-으로 V’형 문장 중 후행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을 ‘NP-으로 V’ 복합서술어로 설정하여 그 세부적인 유형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으로’가 필수 논항인 것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NP-으로 V’ 복합서술어 구문은 모두 용언 주도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서술어의 주어와 선행 성분의 의미상 주어 일치 여부를 분류 기준으로,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와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로 구분한 후, 논항구조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실현되고, [-동일] 주어 복합서술어는 세 가지 유형으로 실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the types depending on argument structure after reviewing the 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nd setting the standards of type classification. That is, as it is to classify the detailed types, setting the inexplainable constructions with argument structures of a lagging component as ‘NP-으로 V’ complex predicates. As the su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structure with ‘으로’ as obligatory argument, I identified that all the ‘NP-으로 V’ complex predicate constructions are predicate-oriented complex predicates. Thus I set the conformity of the complex predicate subject and sense subject a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fter dividing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and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I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argument structures in detail. Consequently I identified that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s are realized into two types and [-conformity] complex predicate subject are realized into three types.

1. 서론

2. ‘NP-으로 V’ 구성의 특성

3. ‘NP-으로 V’ 복합서술어 구문의 유형 분류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