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4장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의 역사성

Historicity of Yun Bong Gil's heroic deed

  • 24

윤봉길의사의 4.29상해의거는 한국독립운동사상 큰 영광과 큰 업적을 남긴 역사성을 갖고 있다. 이는 1920년대 와서 침체국면에 접어들어 그 진로 타개책에 부심하고 있던 임시정부의 광복정책을 선명하고도 새로운 협조체제로 나아가게 활로를 트여주었다. 또 1930년대에 이르러 한국민족이 광복투쟁에 관하여 전망이 불투명하고 자신감과 용기가 저상되고 있을 때 윤봉길의사의 의거는 국내외 흩어져 있는 한민족에게 재기할 수 있는 민족재기의 신념과 희망을 제고시켜 주었다. 그리고 윤의사의 상해작탄의거로 침략자는 어느 곳에도 발붙일 땅을 완전히 제거 당하였다는 기상과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었고, 타국을 침입하는 자는 온전하게 살아남을 수 없다는 교훈을 당당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등 자유우방의 정치 외교 군사적인 지원체계가 보다 현실적으로 형성되어 가기 시작하였다. 윤봉길의사의 상해의거의 역사성은 당시 자유 세계민이 모두 경악, 찬탄하였고 타국을 침탈한 민족에게는 경고성 교훈을 던져주었다. 윤 의사의 역사적 의거로 인하여 온 세계가 감격과 감탄을 아끼지 않았던 것처럼 나라 없어 힘없는 민족으로만 인식된 한국의 민중이 결코 자유 정의 폭력 앞에 죽지 않으며 분기하여 민족의 끈질긴 생명력과 자주성은 광복할 자격과 신념이 넘치는 민족임을 굳게 인식할 수 있게 믿음을 주었던 것이다.

Yun Bong Gil's heroic deed(Bomb throwing to Japanese Army General Shirakawa at Hongkou park) had contributed great achievements in our independent history and had thought the way to seek a new way to our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s, when they faced dilemmas, and gave positive beliefs to our authorities. Not only giving, hopes and courages to all our citizens when they were suffering from loosing confidences since merged their country to japanese invaders, but had provided cooperations in politics and military channels from chinese government.

Ⅰ. 머리말

Ⅱ. 한인애국단의 정의와 작탄항쟁

Ⅲ. 상해의거의 배경과 특무공작

Ⅳ. 상해의거의 주역 윤봉길과 김구의 만남

Ⅴ. 의거의 성공을 위한 임정의 총력전

Ⅵ. 거사준비를 위한 황포공원의 활용

Ⅶ. 4ㆍ29 상해작탄의거의 성공

Ⅷ. 민족적 거사의 성공

Ⅸ. 체포선풍과 윤 의사의 순국

Ⅹ. 임정의 이동

XI.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