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1장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사상 인식

안중근(1879-1910)은 개화사상으로부터 교육구국사상, 의병투쟁과 구국의식의 터득 등 민족자립사상의 체계가 정립되어 있는 독립지사였다. 그는 한국 및 세계역사를 탐독하고, 역사의식과 철학을 배우게 되어 이를 현실정치에 활용하였다. 또한 개화파 인사였던 부친으로부터 개화사상을 터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계를 보는 안목을 체계화하여 세계교류 속에서 문물의 교환과 성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동양평화를 파괴하고 한국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이토 히로부미의 격살을 단행한 것은 그의 체계화된 민족구국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일방적으로 남의 나라를 침략해서 독존하며 한민족의 생존을 위협하는데 대해 총성을 높인 결단이었다. 그것이 곧 안중근의 동양평화사상 태동의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한국과 중국의 상호 국가 보위적 차원에서의 연대와 제휴가 실행되었을 때 동양평화가 달성될 수 있다는 논리이다. 또한 그는 한국의 독립을 공고하게 유지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떠들었던 일본이 한국의 국권을 탈취하여 동양의 평화를 깨고 세계 평화를 정착시키는 근간에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음을 성토하면서 자신의 동양평화론을 펼치고자 하였던 것이다.

An Jung-Gun thought that rehabilitation, edcation, history, the struggle could have consiousness, and he was patriot formed ethnin self-conciousness. The censu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have been through world history, and became a global perspective. Ito invaded Korea and destroyed the peace of the Orient, so he killed him because it was for world peace. This background has been the formation of his theory of Orient peace. The peace of the China and Korea on the basis of the peace that was said. Peace in Korea, as well as he want peace in the Orient was all. It was his theory of the Orient for peace.

Ⅰ. 서론-평화사상의 이해

Ⅱ. 교육구국의식의 선진화

Ⅲ. 의병투쟁의 사상적 의미

Ⅳ. 상무사상의 근대적 평화적 인식

Ⅴ. 관용과 인내심의 체계화

Ⅵ. 대한독립 달성의 사상적 접근

Ⅶ. 공의와 방어체계

Ⅷ. 결론-한·중의 제휴와 평화의 정착 문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