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 「백성욱 박사의 과학관과 수행정신: 인간 수행과 우주원리의 등가성」은 백성욱 박사의 대우주의 기본적 원칙과 인간의 기본적 원칙을 상관 연동시켜 그의 과학관과 수행 정신의 기본적 토대를 고찰하고 있다. 백성욱 박사의 과학관에 대해 “너무 방대해 인간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대우주의 세계와 원자 단위까지 설명하는 소우주 세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백성욱 박사는 “결국 두 개의 다른 세계가 아닌 하나의 세계로 회통하고 있다”라고 통찰하고 있다. 백성욱 박사는 불교의 요체는 ‘순전철학(純全哲學)’인데 그것은 ‘전 우주의 진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론만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직접 체험할 수 있다’라는 점이 불교 철학의 장점’이며, 그 우주적 진리이다. 즉, 반야 지혜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요체가 금강경(金剛經)을 기반으로 하는 수행 정진에 있음을 여러 글에서 밝힌다.
This paper considers the basic foundation of Dr. Baek Sung-wook's scientific perspective and his spirit of practice by correlating them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humanism. Although Dr. Baek Sung-wook's perspective on science is divided into “a world of macrocosm that is too vast to be seen by the naked eye and a world of microcosm that explains even the atomic units,” Dr. Baek Sung-wook has an insight that “we are finally communicating to one world, not two other worlds.” Dr. Baek Seong-wook said, “The core of Buddhism is Abidarma philosophy,” which is “the study of the truth of the universe.” The advantage of Buddhist philosophy is that it is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hands-on experience. It is the cosmic truth. In other words, several articles reveal that the practical element that allows us to reach wisdom lies in the purification of practice based on the Diamond Sutra.
Ⅰ. 머리말
Ⅱ. 소우주와 대우주
Ⅲ. 인간의 생노병사와 우주의 성주괴공
Ⅳ. 생적준칙과 우주의 준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