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민족사상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에 의거한 모자음(母子音)오행성명학의 실증사례 분석

모자음오행성명학은 음양오행론과 천지인삼원(天地人三元)론이 중심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제자(制字)원리와 역학(易學)사상에 근거하여, 선천 사주의 격(格)과 국(局), 용신(用神), 정기신(精氣神) 관계 등을 분석해서 후천적으로 보완할 음양과 오행을 파악한 후, 이에 해당하는 한글 모음과 자음의 조합으로 이름자를 선정하여 선천 사주가 중화(中和)를 이루거나 수기(秀氣)가 유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새로운 발음오행 성명학이다.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 결과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실존 현대인물(4명), 역사적 인물(2명), 중화민국 인물(2명) 등 총8명의 선천 사주와 그들 이름 간의 보완 여부와 그 길흉 관계를 모자음오행성명학의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표적 불교 육자진언(六字眞言)인 ‘나무아미타불’과 ‘옴마니반메훔’의 모자음오행도 분석하여 불교의 사대(四大) 요소인 지수화풍(地水火風)과 모자음오행과의 연관성도 고찰하였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학술적 근거나 논리적 타당성도 없이 무분별하게 활용되고 있는 작명법들의 문제점들이 개선되어 이제부터라도 올바른 작명 문화를 정립하고 성명학이 그 학술적 체계를 정립하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Based on the Principle of creating letters and Science of Changes ideas of Hunminjeongeum, focu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theory and Three Components of the Universe (Heaven, Earth and Man), Moja-eum Ohaeng Naming Science is the new Five Elements of Pronunciation of naming science by selecting the letters of name with a combination of the corresponding Hangeul vowels and consonants to allow innate Saju help neutralizing or excellent energy (Ki) breaking ou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Geok(格), Guk(局), Yongsin (用神), and Jeonggisin (精氣神) of innate Saju, and identify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be acquired supplement. In order to further expand the writer's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ementation and the good or ill luck of eight innate Sajus of existing modern figures(4), historical figures(2), and figure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2) and their names in terms of Moja-eum Ohaeng Naming Science. In addition, Moja-eum Ohaeng of ‘NaMuAMiTaBul’ and ‘OmMaNiBanMeHum’, the representative six words Mantras (六字眞言) of Buddhism, were also analyzed and it also intended to understand the Moja-eum Ohaeng Naming Science more practicall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great elements of Buddhism, the earth, water, fire, and air or wind (地水火風) and Moja-eum Ohae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roblems of naming method, which is being used indiscriminately under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or propaganda without any academic basis or logical validity in current Korean society, establish the upright naming culture, and set up the correct academic system.

Ⅰ. 머리말

Ⅱ. 기존 작명법의 개관

Ⅲ. 훈민정음 제자(制字)에 함축된 역학적 의미

Ⅳ. 모자음(母子音)오행성명학의 구성 체계

Ⅴ. 모자음오행성명학의 실증사례 분석

Ⅵ.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