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 교육에서의 행복에 관한 논의

A prerequisite for public happiness of North Korean student

  • 4

북한 학생들은 교육 전반을 통해 그들 사회가 행복한 사회, 지상낙원이라고 배운다. 그들의 행복에 대한 신념도 매우 비장하다. 통제된 북한 학교에서의 행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인식은 북한 학생들에게 바로 불행을 자초할 수 있는 일대 사건이 되기도 하다. 그러나 행복에 대한 인식은 서서히 변모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북한 인민들의 행복에 대한 수동적 수용성이 이제 강화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즉 북한 교육에서 강화하는 학생의 행복이란 북한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과는 멀게 되어 있다. 집체 교육을 통한 행복 인식 강요는 개개인의 치유를 모색하여야 한다. 3대 세습의 과정이 북한 사회의 부담이 될 수 있기에, 더욱 불행한 사회로의 전이를 막기 위해서는 정치사상교육에서의 실질적인 변화가 시도되어야 한다. 즉 북한 사회가 지금보다 더 나은 실질적으로 행복한 사회로 가게 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북한 교육은 지금의 행복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청되며, 보다 실질적인 행복으로의 방향을 점점 더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North Korean students are exposed to system that is too much glorified for public happiness. Official group education is build up, and their efforts are often required from the outside. Actually, North Korean students are so strict on self assessment about politics educa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It is an issue that could make themselves unhappy by new interpretation and cognition that was made by mistake. About this, North Korean students criticize feeling sympathy. They tolerate to use structural violence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mutual or self-criticism in their daily life. However, this educational approach should be changed. North Korean authorities cannot proceed political reflectivity of their people if they stay in norms. That is, public happiness of North Korean students is to reveal awareness of the problem frankly and implement healing about that now north korean students daily life. This process could be a burden on North Korean society, but it is the time to reflect on themselves. Their own efforts are needed to make the society substantially happy, in other words, to progress enhanced society for public happiness. So, North Korean education should beef up substantial and pragmatic educational methods while removing contents besides realistic parts of politics education.

Ⅰ. 서론

Ⅱ. 북한 당국의 일상적 행복 인식과 현실

Ⅲ. 행복의 다양한 인식을 통한 북한 학생의 삶에 대한 인식과 문제

Ⅳ. 북한의 상황 변화에 따른 북한 학생의 행복 인식 변화 이해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