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부쩍 다문화, 다문화 사회, 다문화교육 등의 논의들이 한국 사회에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들이 대중 및 학문 사회에 관심을 끄는 이유는 아무래도 한국 사회가 이전과는 다른 사회적 토대 구축이 진행되는데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인다. 알다시피 한국 사회는 오랫동안 사회의 각 계층과 영역에 있어 세계사에 보기 드문 단일문화적 전통을 고수해 왔다. 이로 인해 미국 및 캐나다 등 다양한 인종과 민족으로 구성되어 일찍이 다문화적 이해에 기반한 사회 발전을 추구한 국가들과는 국가발전 측면에서 볼때 아주 다른 국가 발전의 길을 걸어왔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변화들 - 이주 노동자의 유입, 결혼 이민자 증가, 새터민 증가 등등 - 과 사회적 변화 - 지역 및 계층 간 양극화 심화, 다양성에 대한 관심 증가, 삶의 복잡화 등등 - 에 따라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다문화에 대한 수용과 이에 대한 이해를 강하게 요구하는 사회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우리 사회 내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증가시키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의 다문화교육 강조에 발맞추어 학교의 다양한 교과들에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연구 등 학문적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학교 도덕과에서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속에 통일교육 영역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중학교 도덕교과 및 통일교육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다문화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다문화교육이 지향하는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이 이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으며, 현행 학교 통일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Due to the fact of globalization, the information revolution, polycentrism. Korea has experienced the multicultural appearance such as increasing immigrant laborers, intermarriage, polarization among socio-economic classes, sexism, racism. As Korea is undergoing a rapid change from a rather homogeniety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Especially, concer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influence on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systematic attempt to institutionalize cultural diversity in an educational setting. Accordingly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ral education has an interest on multicultural education. But its purpose,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s not enough to cope with the multicultur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valid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subject at middle school. For the sake of the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t middle school. Second, this paper is to examine meaning and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uch a field.
Ⅰ. 서론
Ⅱ. 다문화교육적 접근에 대한 이해: 이론적 배경
Ⅲ. 각 교육 영역과 다문화교육의 상호 관련성 분석
Ⅳ. 중학교 도덕과 통일교육 : 다문화교육적 접근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