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통일교육을 도덕윤리교과를 중심으로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탈냉전 이후의 통일교육이 민족공동체를 형성하고 동포 의식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면서도 학교 통일교육의 현실은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과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측면은 곧 청소년들로 하여금 통일에 대해 무관심, 자기우월주의와 탈통일적인 태도 등과 같은 잘못된 통일관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우선, 통일교육의 목표와 관련해서는 국민적 합의에 바탕을 두어 정립되어야 하고, 목표와 내용간의 불일치 제거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통일 내용의 개선점으로 첫째,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위해 다양한 계층의 생활 모습을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하고, 둘째, ‘생활중심의 동질성 추구’를 위해 우리와 이질적인 북한 주민의 생활과 가치관 속에서도 동질적인 측면을 탐색할 수 있는 자료와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셋째, ‘민족적 화해협력의 도모’를 위해서 사회문화적 부문에서의 남북의 다양한 만남과 접근 및 협력의 사례와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넷째, ‘평화와 공존의 추구’와 관련해서는, 통일문제의 자주적 측면과 국제적 측면의 조화를 추구하고 동포와 더불어 사는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연습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통일교육을 강조하였다.
Since the cold war was finished,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seeking to make people practice what it suggest in daily life while forming national community and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Yet it is seemed that actuality of unification education differs from what unification pursue in public education course. First of all, teachers can't be teaching student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changed of new curriculum because contents and methods of ethics subjects have not adjusted to current of change. Next, contents and methods of unification education don't comprehend the value and attitude of youth. And it is seemed that youth has indifference about unification, even they want not to unify with North Korea. In this circumstance, curriculum has task that induce youth to recognize security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mmunity which is appropriate to age that cooperation, reconciliation and peace are important. This thesis searches why this problem happened in relation to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it seeks to improve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Ⅰ. 서론
Ⅱ. 학교 통일교육의 목표
Ⅲ. 학교 통일교육의 내용 분석
Ⅳ. 민족공동체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