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주체사상의 비판적 인식에 의한 통일교육의 개선

  • 9

현실 적합성을 지닌 통일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북한 통치이념의 실상파악을 통한 지배적 실체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북한 통치이념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치·제도 등의 현상적 범주의 시각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이념·가치·신념과 같은 본질적 범주의 관점에서 모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북한의 통치이념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파지하기 위해서 본질적 관점을 견지코자 한다면 북한사회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지배하고 있는 김일성 주체사상의 파악이 어느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왜냐하면 북한의 주체사상이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한갓 정치 이데올로기에 불과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북한에서 주체사상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부문만이 아니라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은 물론 심지어 가치판단과 실천적 행위의 보편적 준칙이 된지 이미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과 관계된 국내외적인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국민들로 하여금 북한에 대해 명료한 인식과 그에 의거한 바람직한 통일관을 견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북한사회의 지배적 실체의 파악에 유효한 교육을 실시해야한다. 북한관련 교육의 기본 방향을 이와 같이 설정하는데 있어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바로 주체사상의 본질을 파악하는 일이다. 앞으로 통일교육은 바로 주체사상의 본질과 그 변화 추이를 적실성 있게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Ⅰ. 서론

Ⅱ. 주체사상의 형성배경과 변화과정

Ⅲ. 주체사상의 특징적 원리와 내용 구조

Ⅳ. 세계정세의 변화에 따른 주체사상의 재해석과 변용

Ⅴ. 주체사상의 비판적 인식을 통한 분단해소와 통일성취

Ⅶ.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