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지도연구 제14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본 평양의 장소성

A Study on the Placeness of Pyongyang through Analysis of Geographical Names and Symbols on Contemporary Topographical Maps

DOI : 10.22787/oldmap.2022.14.2.004
  • 78

본 연구는 평양 지역의 근대지형도와 이 중 『조선기본도』의 지명과 기호 유형에 대해 검토한 것으로, 평양 지역의 근대지형도를 활용하여 평양 지역의 근대 시기 기초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평양 지역의 근대지형도를 중심으로 도엽을 파악하고, GIS를 활용하여 『『대동여지도』, 『조선기본도』, 현재 행정구역(2019년 기준)을 구축하고 비교하였다. 둘째, 『조선기본도』의 평양 지역인 평양부와 대동군, 강동군의 지명을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셋째, 『조선기본도』의 평양 지역인 평양부와 대동군, 강동군의 기호를 지형도의 부호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선기본도』에 표현된 지명과 기호를 분석한 결과, 지명뿐 아니라 기호가 담고 있는 의미 또한 그 지역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서 지명과 더불어 기호도 연구대상으로서의 충분한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평양 지역의 『조선기본도』에 해당하는 점 사상(feature)의 지도 기호를 전자지도 및 웹 GIS의 형태로 구축한 DB를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도(thematic map)로 표출할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patial database for the modern period in Pyongyang through a review of the geographical names and symbol types on the Joseon Basic Map, which is a contemporary topographical map. To this end, the Pyongyang map sheet was identified based on contemporary topographic maps, and a GIS database (DB) was constructed using Daedongyeojido, Joseon Basic Map, and the maps of current administrative districts(as of 2019) for comparison. From the data from the Joseon Basic Map, the geographical names within the Pyongyang region such as Pyeongyang-bu, Taedong-gun, and Gangdong-gun were documented according to type. The symbols on the Joseon Basic Map were documented using the symbology of the contemporary topographical map for the Pyongyang region including Pyeongyang-bu, Taedong-gun, and Gangdong-gun. Following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the geographical names and symbols on the Joseon Basic Map, it was found that the geographical names and symbols are important elements representing the placeness of a region. Using a web-based GIS database for the Pyongyang region comprising the map symbols of points and features corresponding to the Joseon Basic Map, that were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various thematic maps can be developed.

1. 서론

2. 한국의 근대 측량 지도와 평양

3. 근대지형도의 지명과 기호로 표현된 평양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