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상품학연구 제40권 제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through I-O Table

DOI : 10.36345/kacst.2022.40.6.017
  • 55

본 연구는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국민들의 통신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는 물론 정부와 기업의 통신서비스산업 정책 추진과 발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은행 2019년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278개 산업분류 중 유선, 위성 및 기타 방송업,유선통신업, 무선 및 위성 통신업 등 3개 산업을 통신서비스산업으로 분류하여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통신서비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열 합계는 1.82849, 행합계는 1.42254로 32개 산업 중 중간 이하의 순위를 보이고 있다. 둘째, 통신서비스산업의 영향력계수(후방연쇄효과)는 1.00374,감응도계수(전방연쇄효과)는 .78090으로 통신서비스산업의 다른 산업의 중간재 역할이 미흠함을 알 수 있다.셋째, 통신서비스산업의 소득유발계수는 .23153로, 생산세유발계수는 .08275, 부가가치유발계수는 .82533로 나타났다. 넷째, 통신서비스산업에서 유발하는 생산유발액은 21,334,0십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9,763.9십억원, 소득유발액은 3,426.9십억 원 그리고 생산세유발액은 899.2십억원으로 타산업에 낮은 경제적 효과를 보였다. 끝으로, 통신서비스산업의 노동유발효과는 834.5명이 유발되며, 그 중에서 직접유발인원은 57.9명, 간접유발인원은 776.6명으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산업 특히 정보산업보다 높은 고용창출형 산업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and help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promote and develop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policie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of three industries, including wired, satellite and other broadcasting,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and satellite communication, among the 278 basic industrial categories of the Bank of Korea 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is 1.82849(column) and 1.4225(row), showing a lower-middle ranking among 32 industries. Second, the power of dispersion coeffici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is 1.00374 and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coefficient is .78090, indicating that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does not play an intermediate role in each industry. Third, the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was .23153, the production tax inducement coefficient was .08275,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was .82533. Fourth, production inducement in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was KRW 21,334.0 billion, value-added inducement was KRW 976.39 billion, income inducement was KRW 342.69 billion, and production tax inducement was KRW 899.2 billion, showing a low economic effect on other industries. Finally, the Labor inducement effect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industry is 834.5 people, of which 57.9 people are directly induced and 776.6 people are indirectly induced, showing that it plays a higher role as an employment-creating industry than other service industries, especially the information industry.

Ⅰ. 서 론

Ⅱ. 통신서비스산업의 산업연관분석을 위한 이론적 분석

Ⅲ.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