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2020년 창궐한 코로나 19 사태 시기에 국내은행이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를 다른 연도에 비하여 더 많이 설정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5대 시중은행(기업은행 포함)과 6개의 지방은행을 검증대상으로 146개 연도-은행별 표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발발된 2020년도에 더미변수를 취하고,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단변량분석 결과, 코로나 19 발발 연도변수(COVID)와 대손관련 변수(LLP, LLA)는 통계적으로 1% 수준에서 유의한 양(+)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의 평균은 코로나 19 발발 연도에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2020년에 통계적으로 1% 유의수준에서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이 다른 연도에 비하여 더 많이 설정한 결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대손설정 이전 순이익의 증가가 예상되었을 경우 다른 연도에 비하여 대손상각비를 더 많이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코로나 19 사태에 은행이 고통분담과 형평성 차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정치적 부담을 회피하기 위하여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을 재량적으로 많이 설정함으로써 이익을 하향조정하였다는 점을 규명한 공헌성이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domestic banks set more the loan loss provisions(LLP) and loan loss allowances(LLA) than other years during the COVID-19 crisis in 2020.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11 to 2020 with the sample of 146 banks and 6 local banks. This study took dummy variables in 2020 when Corona 19 was broke out, and analyzed the effects on LLP and LLA. [Findings] As a result of the univariate analysis, the COVID-19 dummy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at the 1% level with LLP and LLA, and the average of LLP and LL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VID-19 outbreak yea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2020, at the 1% significance level, LLP and LLA was shown to be higher than in other years [Implication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larifying that banks have lowered earnings by setting a large amount of LLP and LLA at their discretion in order to avoid the political costs that can be raised in terms of pain sharing and equity in the COVID-19 crisi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연구의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