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영남 대작사건을 통해 미술계를 넘어 사회 내에서 이행되는 미술품의정당화를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신제도론 접근과 예술사회학적관점을 바탕으로 세 가지 차원의 미술품 정당성(문화-인지적, 규범적, 규제적)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다. 이후, 기사, 법원판결문, 단행본, 논문 등의 이차자료를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영남의 화투그림에 관한 정성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해당 미술품의 정당성에 관여하는 미술계 내외의 전문가(작가, 평론가, 연구자, 갤러리스트), 대중, 사법부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품의 정당성에 관한 논의가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예술계의 매개자에 의한 문화-인지적 차원 외에 규범적·규제적 범주에서도 이루어짐을 이해한것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은 조영남의 화투그림의 정당성에 관한 사법부의 판단 보류와 대중의 윤리적 비판과 별개로 문화-인지적 차원의 논란을 지속되고있음을 논하였다. 이는 미술계 안팎에서 이루어진 미술품의 정당성에 관한 논쟁이다시 예술계 내부로 국한되어 진행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artworks implemented in society beyond the art world through the case of Cho Young Nam’s ghost painter. This article theoretically reviewed the legitimacy of artworks in three pillars (cultural-cognitive, normative, and regulative) drawn from the neo-institutional approach and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arts. A qualitative case study, then, was conducted on Cho Young Nam’s Hwatu paintings by mainly collecting secondary data such as newspapers, the written judgments of courts, books, journal articles, and so on.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existence of experts, the public, and the judiciar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art world, who are involved in the legitimation of the art.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at the discussion on the legitimacy of artworks is conducted at normative and regulative levels in addition to the cultural-cognitive layer by intermediaries in the art world that have been stressed in previous research. However,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 arguments about the legitimacy of Cho Young Nam’s Hwatu paintings at the level of cultural-cognitive continue, albeit reserving judgment of the judiciary on and ethically criticizing by the public that legitimacy. This implies that the debate about the legitimacy of artworks within and outside the art world is again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art worl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결과
Ⅳ.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