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행복감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특수교사의 학교문화 인식수준과 행복감 수준을 살펴보고,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행복감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U시와 B시에 소재한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초·중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는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수준은 높았으며,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 교직경력, 소속 학교, 소속 학교 근무 기간, 담임 여부, 결혼 여부에 따라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은 높았으며,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는 교직경력에 따라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문화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행복감과의관계는 전체적으로 정적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특수교사의 학교문화 인식수준이 긍정적일수록 특수교사의 행복감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건전한 학교문화 형성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아울러 학교현장에서 행복을추구하는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나가는 데 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1 teachers of special schools in ‘U’ and ‘B’ city area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balanc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culture was high, and tha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age of teachers, the period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period of service at their school, and the homeroom teacher status, marriage status.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 and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culture and happiness was a static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more positive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culture was, the happi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wa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finding healthy school cultures pursued by special educatino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 want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ursues happiness in the field of school.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