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Building Cooperative Governance of Schools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 제2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20.12
- 93 - 118 (26 pages)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목적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활용하여 단위학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를구축하기 위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학적 요인들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미시체계에는 학생, 교사, 학부모, 교장, 학교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중간체계에는 사회적 자본, 협력, 파트너십 요인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외 체계에는 지역사회, 지자체 및 교육청 요인이 포함되었고, 거시 체계에는 국가(정부), 국가 교육과정, 사회적 문화 요인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체계는 정책 형성과정과 갈등 해결과정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기존의 역할에서 탈피하여새로운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지식이나 태도도 중요하지만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단위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모든 차원의 요인에 대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unit schools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propose a plan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of unit schools based on th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in unit schools using the ecological system theory. Results: Various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unit school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micro, intermediate, external, macro, and time systems. Conclusion: In order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school members must break away from their existing roles and take on new roles. In additi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each member must have is important, but clos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members will be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