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과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을 주제로 한 기존의 개별 사례 연구 6편을 대상으로 질적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운영 과정에서 현실과 동떨어진 국가 교육과정에서 혼란을 겪고 있으며, 교과 지식과 생활기능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하고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적용하고자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교사 개인의 역량에만 의존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극복하기 위해 교사간 협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2022 특수교육 교육과정 속에 학교에서 상황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는 범위와 학교의 자율성을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보다 확대되어 포함되어야 하며, 학교 구성원과협력체제를 구성하여 이들과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pecial teachers' experience of operating the curriculum and its characteristics by focusing on the process and aspects of the teacher, who is the final implementer of the curriculum, to apply the national curriculum at school sites. Method: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6 individual case studies on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clude dis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hat is far from the reality of special schools, the conflict of choic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ife-oriented education, operating a curriculum that depends only on the teacher's competency, Efforts of teacher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urriculum operation were derive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onditions for re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nit school, and support to demonstrate autonomy at the school level is required. In addition, efforts are required to form a cooperative system with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o operate the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school member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