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하고 있는 ‘뽑다’와 ‘고르다’, ‘사다’와 ‘구입하다’, ‘교환하다’와 ‘바꾸다’ 등 3쌍의 유의 관계 단어들을 대상으로 중급 학습자의 유의어 인식 실태와 의미 변별에 관하여 살펴보고 그 교육방안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유의 관계에 있는 동사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명사 논항을 바탕으로 각 동사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서 유의 관계에 있는 동사쌍에 공통으로 공기 관계를 이루는 명사 논항과 개별적으로 쓸 수 있는 변별 명사 논항을 구분하고 연어 사전, 말뭉치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명사 논항을 제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학습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와 함께 좋은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는 격틀 구조의 비교도 논의하였다.
The meaning of the synonymous relations of verbs can be identified by the information of noun argument co-occurred with the verbs and the case frames of the verbs themselves. Sinc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case of the foreigners learning Korean, they are less likely to learn the co-occurrence of verbs and various nouns. Accordingly, in order to educate them about the verbs in the synonymous relations and let the learners learn them effectively, it would be necessary to allow them to identify the meaning of verbs, based on various noun argume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basic meaning of pairs of verbs targeted for learning, the domains of common meaning and the differentiated meaning occurred. In addition to them, the comparison of case frame structures can be a good teaching method.
1. 서론
2. 유의어 인식 실태 분석과 의미의 변별
3. 교육방안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