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Teaching-Learning Ways of Inter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onvergenced-Type Grammar Education in Multi-culture Society

DOI : 10.15734/koed..93.201212.5

초록

이 연구는 모국어 학습자들이 지금여기 및 앞으로의 다문화 사회 속에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형 문법교육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모색하는 작업이다. 연구 대상은 모국어 화자인 주류 학습자들이며, 방향은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상황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수용하고 생산해 내는 문화·영역 통합형 문법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문법교육이란, 문화를 중심으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식과 정서와 수행성을 동시에 총체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변화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럴 때라야만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상황과 사회문화적 맥락이 언어 속에 들어올 수 있으며, 그것은 곧 국어교육이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선봉이 될 가능성을 열어 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변화된 문법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언어 자체의 단위적 지식을 넘어서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소통의 언어문화교육이 되게 하여 이론과 실제가 합일되는 국어교육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교육은 다문화적 상황을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패러다임을 통해 국어교육 내에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이란, 정확하고 적합하게 언어를 조직하는 능력,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게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평등하게 바라볼 줄 아는 능력, 원활한 대인관계를 통해 상대를 배려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을 위하여 언어를 축으로 한 상호문화성의 중심 화두로 ‘문화’, ‘다양성과 평등’, ‘관계와 배려’, ‘정체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상정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언어 지식과 언어 활동을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수용·생산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평등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관계성과 배려심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possi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applications in the convergenced-type grammar education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multi-culture society now and for ever. That is, the view of future which the grammar education are oriented in our school fields is an objective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etting toward. These are following below.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have a role to lead changes of society through the integration in domai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fusion with culture Second, the communication and grammar as use would be basis for the inter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grammar education would gain a status, not analytic understanding or memorization about language, but the ideal medium for connecting human life and various culture. Fourth, students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ed on culture, variety, equality, relationship, caring by an axis of language. Fifth, cultural reciprocality, knowledge above domains, skill and attitude would be teach-learned by materials of text. Sixth, the real works would be placed for get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group activities which teacher and learner cooperate with. Seventh, three components would get together for cultiva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upplemented theory guidelines of curriculum and a detailed textbook projected by those curriculum, and the real class based on these curriculum and a textbook. So the basic objectives of the grammar education suitable to multi-culture society follows below. “This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competence and attitude to make identity through reciprocality and caring, by acknowledging cultural varieties and cultivating principle of equality with consuming and producing critically and creatively language knowledge and language activity which is concerned sociocultural contex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