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문학 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Critical Study on the Taking Aspect of Media Language in Literature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DOI : 10.15734/koed..94.201303.225
  • 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문학 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수용 양상을 살펴본 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매체 언어 수용 양상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문학 교육과정에서 매체언어의 수용은 매체로 구현된 문학을 통해 언어 현상에 대한 중층적 담론을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공동체의 문화를 향유하고 구성원들과의 문학적·문화적 소통 능력의 신장을 지향한다. 그러나 초등 문학 교육에서는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실천이 미비하다. 초등 문학 교육에서 교육과정(2007, 2011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요소나 교과서로 구현된 바는 매체 언어가 배제된 문학 교육의 양상을 띠고 있다. 초등 저학년에서 그림책을 통한 교수-학습이 유일하게 매체 언어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예이다. 그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은 언어 생태계 변화에 대한 소극적 대응, 문자언어 중심주의적 문학 언어관, 문학에 대한 권위적 위상의 문제를 들 수 있다. 매체언어에 대한 초등 문학 교육은 이전 시대가 추구하는 가치관의 틀을 넘어서야 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문학적 소양의 그릇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aking aspect of media language in literature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to analyze some problems of taking aspect of media language through literature curriculum and text book. The accept of media language in literature curriculum aims to increase the ability of taking multi-level discourse about language phenomena, to participate in community culture, and to develop socio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But the movement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s poor. The approach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passive by examining the contents in literature curriculum and text books. The phenomena are caused by passive response for changes of language ecosystem, the view of literary language which focused on written language, and authoritarian status of literature.

1. 서론

2. 초등 문학 교육에서 매체 언어의 수용 양상

3. 초등 문학 교육에서 매체 언어 수용의 문제점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