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의 국어 습득과 학습자 변인 연구

Korean Acquisition and Learner Variables of Chinese Background Migrant Adolescents

DOI : 10.15734/koed..94.201303.469
  • 12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법능력과 화용능력을 알아보고, 문법능력과 화용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GJT는 154점 만점에 평균 88.84점으로 57.68%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문법항목별로는 높임법에서 가장 높은 정답률을, 과거회상 선어말어미 ‘더’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화용능력 AJT에서는 각각의 화행 및 관계별 상황에서 평균 61%의 정도의 수용 정도를 보였으며, 비교를 위해 수집한 모국어 화자의 경우 평균 65%의 수용 정도를 보였다. 두 집단 간 독립검정 t-test를 실시한 결과 거절화행과 상하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법능력 및 화용능력과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문법능력과 화용능력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민족문화정체감, 학습동기, 나이, 한국체류 기간 및 국어학습 기간으로 구성된 변인들은 중도입국 청소년의 국어 습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다만 변인 간의 관계에서 민족문화정체감과 학습동기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국어학습 기간과 학습동기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중도입국 청소년이 자신의 민족적 배경 및 문화에 대한 호기심 등으로 국어 학습을 시작하지만 학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단순한 국어학습에 대한 동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grammatical and pragmatic competence of Korean migrant adolescents with Chinese background, and learner variables influencing the competences. The mean accuracy rate in grammatical judgment test showed 57.68% with the highest rate in honorification and the lowest rate in past retrospective pre-final suffix /te/. The acceptability rate in acceptability judgment test to measure pragmatical competence showed 61% that was a little lower than native speakers’ rate. Especial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fusal speech act and high-low 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ammatical competence and pragmatic competence;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rammatical and pragmatic competence and learner variables such as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motivation, age, residing period in Korea, and learning period of Korean. The strong correlation was proved between ethnic and cultual identity an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learning period of Korean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It was claimed that migrant adolescents began their learning of Korean with curiosity of Korean ethnic background and culture, but lost their motivation as learning period got longer.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