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교과서에서 밝힌 시각 자료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 내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문제해결을 위해 사고의 측면에서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이나 국어교과서에서 시각 자료를 해석하는 글의 정의항에는 이해와 설명을, 시각 자료 해석의 방법과 유의점이나 시각 자료를 해석하는 글쓰기의 방법과 유의점에는 추론과 분석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해석과 관련된 내용들이 사고의 측면에서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시각 자료 해석하는 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석의 의미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한다.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교과서에서 밝힌 시각 자료를 해석하는 글의 개념이 시각 자료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라면, 시각 자료 해석은 해석(解釋)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석은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시각 자료에 대한 핵심적인 의미를 파악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석에 앞서 시각 자료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이 선행되고 그 이후에 시각 자료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고의 측면에서 해석의 의미에는 판단, 이해, 설명이 들어온다. 그런데 시각 자료 해석 방법과 유의점이나 시각 자료를 해석하는 글쓰기의 방법과 유의점에서, 추론을 제외한 해석에 관한 대부분의 기술은 해석(解析)에 해당한다. 이때의 시각 자료 해석은 시각 자료를 해석(解釋)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고의 측면에서 해석의 의미에는 해석(解釋)과 분석이 들어온다. 그렇다면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교과서의 시각 자료에 대한 해석하는 글쓰기에서 해석의 의미는 해석(解析)으로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meaning as Korean linguistics of haeseok in terms of thinking as problem-solving by watching the problem of contents associated with haeseok of visual data, is described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07 and a Korean language text book.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 book,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has been used in definiens of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inference and analysis has been used in the method and points to remember about haeseok of visual data or the method and points to remember of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So the contents associated with haeseok does not match in terms of thinking. Therefore the meaning of haeseok need to be se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bout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If concept of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is describ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 book is to explain easily to understand visual data, haeseok of visual data is a means of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grasp the salient meaning about visual data that can not determine the meaning and is to explain easily to understand it. And Judgment about the reliability of the visual data must take precedence prior to interpret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data should be made thereafter. Therefore judgment, understanding, explanation is in the mean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thinking. But in the method and points to remember about haeseok of visual data or the method and points to remember of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description of the most about haeseok except for inference is a concept as interpretive analysis. The interpretive analysis of visual data is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visual data. Therefore interpretation, analysis is in the mean of interpretive analysis in terms of thinking. In writing for haeseok of visual data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 book, the meaning of haeseok should be specified in the interpretive analysis.
Ⅰ. 머리말
Ⅱ. ‘해석’내용 관련 문제
Ⅲ. 해석(解釋)과 해석(解析)의 의미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