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역사지리 제34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근대화와 도시-농촌 이분법의 재고찰

Rethinking the Urban-Rural Dichotomy in the Modernization of South Korea: Focusing on the Gender and Race

DOI : 10.29349/JCHG.2022.34.3.50
  • 238

본 연구는 근대화와 도시-농촌 이분법의 젠더 및 인종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도시와 농촌 사이의 성차별적이고 인종주의적인 한국사회의 이분법적 공간적 상상을 해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근대화 과정은 가부장적 성격과 인종적 순수성을 띤 관념적 농촌성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농촌의 현실과 모순을 불러일으켰다. 둘째, 근대화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농촌사회로 인해 관념적 농촌성이 위협받기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환기된 농촌사회에 대한 두려움은 농촌총각의 자살문제로 구체화되었다. 농촌총각의 죽음은 가부장적 권위의 위기이자 한민족의 존폐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전국적인 사회문제로 부상하였다. 셋째, 자살문제의 해결책이었던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프로젝트는 한국인 도시여성-동포여성-저개발국여성이라는 성차별적이고 인종주의적인 계보를 따르며 농촌을 여성화되고 인종화된 공간으로 주변화해왔다. 본 연구는 오늘날 농촌을 재현하는 성차별적이고 인종주의적인 방식을 역사 및 공간적 맥락에서 밝히면서 현재 농촌에 대한 불평등을 이해하는 접근 방식을 새롭게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ismantle the sexist and racist spatial imagin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of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gender and racial relations between modernization and the urban-rural dichotom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s modernization process created an ideological rurality with a patriarchal character and ethnic purity, which created contradictions with rural reality. Second, ideological rurality began to be threatened by the changing rural society due to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and the fear of rural society evoked in this process was embodied as a suicide problem for rural bachelors. The death of a rural bachelor emerged as a nationwide social problem because it was linked to the maintenance of patriarchal authority and the Korean ethnics. Third, the rural bachelor marriage project, as a solution to the suicide problem, has marginalized rural areas into a feminine and racial space, following the sexist and racist genealogy of Korean urban women, ethnic women, and underdeveloped women. This study revealing the sexist and racist ways of representing rural areas today in historical and spatial context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pened up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inequality in Korean rural areas.

1. 서론

2. 근대화와 도시-농촌 이분법의 젠더 및 인종적 관계

3.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와 모순적 농촌성

4. 농촌총각의 자살, 그리고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프로젝트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