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한 쓰기불안 척도 분석

The Calibration of Writing Apprehension Scale Using Rasch Rating Scale Model

DOI : 10.15734/koed..87.201104.273

본 연구에서는 Rasch 모형의 한 종류인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쓰기불안 측정 자료를 분석하고, 쓰기 불안 척도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Rasch 평정척도 모형은 서열화된 다분자료 분석을 위해 고안되었다(Andrich, 1978). Daly와 Miller(1975)의 WAT는 필자의 쓰기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쓰기불안척도가 적절한 반응범주를 구성하고 있는지의 여부나 학생들의 쓰기불안을 측정하는데 적합한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1,273명이었으며, 이 중 남학생은 전체 779명(61.2%), 여학생은 493명(38.8%)이었다. Rasch 모형을 적용한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와 쓰기불안척도의 범주별 logit 점수 분포에 따르면, 쓰기 불안의 중간 수준 문항들은 잘 구성된 반면, 높은 수준과 낮은 불안 수준 문항들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정된 문항 적합도에 관한 분석에서 WAT의 26개 문항 가운데 2번과 7번 문항은 부적합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항은 차원 내 다른 문항과 동질성을 갖지 않는 문항이었다. 셋째, 쓰기 불안 척도의 5점 척도 구성이 타당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반응 범주별로 산출된 빈도(%), 경계모수치(step calibration), 확률가능곡선에 대한 분석에서 쓰기 불안의 5점 척도 구성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of the writing apprehension test(Daly & Miller, 1975). The writing apprehension refers to the tendency to avoid writing. For this purpose, all the original 26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the 1,273 high school students(male=779, female=493). Then, the participants'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the Rasch model.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First, To assess whether the test covers the subjects’ range of writing ability a map of persons and items was examined. WAT do not adequately cover the range of writing ability of subjects. There are no items targeting subjects at the upper end of the scale. Second, In the WAT, two misfitting items were found. Item 2 and item 7 were misfitting. Third, WAT seems to be reasonable as a method to define the writing apprehension by the result of Logit number distributions of each category, as the intervals of the categor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