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ocabulary·Grammar Evaluation in TOPIK

  • 8

언어교육에서 평가는 학습자에게 향후의 학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들이며, 교수자 역시 향후의 교육 계획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 일부를 이용하여 평가도구의 구성과 평가 항목 등을 먼저 살펴보고, [어휘, 문법]영역과 [쓰기]영역 등 표현 영역의 문제지를 중심으로 정답률을 살펴보고 다음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2급의 평가 목표는 기본 어휘 1,500-2,000개 단어 정도의 문장을 이해하며,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대화가 가능한 정도로서 문항의 형태는 90%이상이 선택형(4지선택형)이며, 나머지가 서술형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항의 유형을 분석해 보면 ‘빈 칸 채우기’가 3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맞는 문장 고르기, 형태 바꿔 쓰기, 같은 의미 찾기’ 등이 있다. 이렇게 본다면, [어휘 문법]의 평가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이 빈칸 채우기이며, 이외의 방법들이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제 의도면에서 살핀다면, 기본 어휘를 파악하려고 하는 문항, 주요 문법을 파악하려는 문항, 그리고 담화 생성 능력을 파악하는 문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주요 문법 파악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문제가 가장 많고, 연결어미의 사용을 묻는 문항에 편중되어 있다. 평가 후 정답률, 오답률을 조사와 관련된 문법 형태, 연결어미와 관련된 형태의 사용, 보조용언과 관련된 구성, 그 외의 문법 형태, 기본 어휘와 관련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정답률/오답률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것은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음을 보여주며,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적절하게 변별해 주는 기능을 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Evaluation in language education is not only an essential part for students for future learning, but it also is a useful tool for teachers for planning future teaching. This paper first discussed the composition and evaluation items of evaluation tools by using part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nd then examined the right answer rate centered on [Vocabulary·Grammar] section and [Writing] section in order to search for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teaching. Evaluation goal for the Level II is to understand sentences composed of basic vocabularies of 1,500-2,000 words and to manage conversation to satisfy basic needs. Over 90% of the questions are multiple choice (4 choices) type, with the rest of essay style.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questions, 'filling in blank' type was the most frequent with 35%, followed by such types as 'choose the right sentence, rewriting in different pattern, finding synonyms,' and so 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most common method used for [Vocabulary·Grammar] evaluation is 'filling in blank' with other methods partially used. In terms of the rationale behind, ques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for basic vocabulary, those for major grammar, and those for dialogue generating ability. Among them, questions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major grammar were most frequent, mainly centered on the use of connection endings. Right answer rate and wrong answer rate after the test were discussed in terms of particle-related grammar, usage of connection endings, composition related with complementary verb, other grammatical type, and basic vocabulary. Extremely high or low right answer rate and/or wrong answer rate indicate failure in controlling the level of complication, thus showing the inability to properly represent the learner's proficiency in Korean.

1. 문제제기

2. 한국어능력시험 평가도구 분석

3. 한국어능력시험의 표현 영역 결과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