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를 보면, 이주민 여성들의 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지도 방안을 모색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조사 오류 유형을 분류해서 문법적인 설명과 많은 예문에서 조사의 쓰임, 의미 등을 구문 형식으로 통합 교육을 해야 한다. 어미는 어미의 의미 차이를 비교해서 설명하고, 어미의 쓰임을 개별적으로 교육하기 보다는 어미를 가지고 문장을 생성하는 활용 방안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제와 높임은 이주민 여성들에게 익숙한 표현이 아니기 때문에 쓰기나 말하기를 통해 실제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문법적인 지식보다는 구문을 통해 활용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문장 성분의 생략, 수식 관계 및 어순 등의 오류는 문장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설명하고 생략이 가능한 경우와 가능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서 쓸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한다. 단순 표기의 오류는 발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 초급 과정에서부터 각 자음과 모음의 발음이나 단어, 문장의 연음이 익숙해지도록 말하기, 듣기,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해야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를 제2언어로 학습하는 이주민 여성들의 형태․통사 등 다양한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문법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적 오류 분석의 대상은 이주민 여성 40여 명의 글이며, 오류의 분석은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에 대한 방법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Even if there are a lot of errors as to writing by Korean residents, they don't make an error since they are foreigners. It is obvious that it's difficult for Korean to write Korean uprightly nevertheless it is their native language. Education ways to improve mistakes on writing by Korean residents are follow ;1st, Education which can coordinate a use and meaning of postposition with the type of construction should be executed. 2nd, Educating foreigners to make sentences with termination is more efficient than educating them about differences of terminational meanings as well as use of terminations respectively. 3rd, As foreigners are unfamiliar with Korean tense and honorific expression,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s making foreigners write Korean actually through writing or speaking and we also need teach them to write Korean not by the knowledge of grammar but using construction. 4th, For an efficient writing education, we should illustrate if the component of sentence can be abbreviated by giving a comparative example. Moreover, it is more effective method that we take lots of examples to make them understand not only embellishment but word order clearly. Lastly, An effective education will be completed with educating speaking, hearing and writing synthetically in order to attain proficiency in pronunciations, vocabularies or lenes from a primary course.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