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A Perspective “解” Phonetic Radicals : from Proto‐Korean to Chinese Characters

漢語와 한국어의 몇 천년 간의 언어접촉으로, 현대 한국어에는 총 어휘의 70 % 에 육박하는 借用 漢字語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뚜렷한 차용어 외에도 그들 간에는 일반 차용관계를 뛰어 넘는특수한 “關係語” 들이 존재한다. 이는 바로 上古 漢語와 한국 고유어간의 대응현상이 그것이다. 예컨대, 上古 汉语의 [*plum](风)(郑张尚芳 2003)과 현대 한국어의 “바람(风)”과의 관계, 上古 汉语 [*khrɯds](器)와 현대 한국어 “그릇(器)”의 관계가 그렇다. 이러한 “관계어”에 관해 어떤 이들은 “우연의 일치”로, 어떤 이들은 “上古시기의 차용어”로 본다. 본인의 연구(2004, 2007, 2008)에 의하면 이러한 어휘들은 谐声체계내에 집단적으로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들을 모두 우연의 일치나 주관적 억측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들은 借用이 아닐 뿐 아니라 심지어 이른바 “汉-韩(알타이)準同源語群”의 양상을 띠고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의 주요 토론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우선 “解聲”系字의 上古 漢語와 한국 고유어(알타이제어 포함)의 비교를 통해 양자간 대응의 엄밀성을 살펴보았다. 즉, 上古에 [*Kreeʔ](郑张尚芳2003) 등으로 읽혔던 “解声”系字 “解、懈、檞、澥、□、蟹” 여섯 글자들이 각자 모두 [kïɾï-](MK-解)등 [KVR-]형 相關 한국 고유어(알타이제어 포함)와 밀접히 대응되고 있다. 이는 漢-韓 대응의 체계성과 신뢰도를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이들 汉-韩 对应의 자료에 근거해 몇몇 “汉-韩準同源語群”을 재구했다. 예컨대, “[kVR-]/{解}汉-알타이준同源어군”等。그 중 “[kVR-]/{解}汉-알타이 준동원어군”의 구체적 내용을 보면: “解(佳買切/{解}/[*kreeʔ]-AC):[*görö-](PK-解),[görä-](PT-解), [kïɾï-][kïl-o-](MK-解), [ʔkïrï-](K-解)、[keïrï-](K-懈)” 셋째,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료와 토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祖語(알타이조어)의 “解声”系字 창제론을 논하고자 했다.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have shared a historical relationship for thousands of years. Korean language has around 70% Chinese loanwords. However, besides these Chinese loanwords,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lso have some special relative words that correspond‐to the phenomenon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Archaic Chinese [*plum](風)(Zheng zhang, Sang-fang 2003) and [param](wind), and also the relation between Archaic Chinese [*khrɯds](器), and Korean [kïrït](vessel). This phenomenon of “relative words” has been regarded as either accidental coincidence or resulting from ancient loanwords. According to my previous research (Oh,Se-jun 2004,2007,2008),these relative words correspond in the Phonetic Radical System(諧聲) collectively and systematically. Therefore, I postulate a non-coincidental relation between these relative words, and one that has not resulted from subjective guesswork, i.e., they are not loanwords. They even can associate large‐scale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three issues: Firstly, the correspondi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is determined by comparing Phonetic Radicals’ Archaic Chinese and Korean (including Altai Language). The following six characters of “解” Phonetic Radicals, “解、懈、檞、澥、□、蟹”, which are pronounced as [*Kreeʔ](Zheng zhang, Sang-fang 2003) correspond to the category of [kïɾï-](MK-解) [KVR-] related inherent words in Korean (including Altai language). This indicates the corresponding systemic relation and reliability of Chinese-Korean language. Secondly, several so-called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ir correspondence in Chinese and Korean material, such as “[kVR-]/{解}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Specific examples for “[kVR-]/{解} Semi-Cognate Words of Archaic Chinese and Altai” are as follows: “解(佳買切/{解}/[*kreeʔ]-AC):[*görö-](PK-解),[görä-](PT-解),[kïɾï-][kïl-o-](MK-解),[ʔkïrï-](K-解)、[keïrï-](K-懈)”. Thirdly, based on these arguments presented above, this paper discusses the creation theory of Altai Proto-language’s “解” Phonetic Radicals Chinese characters.

1. 緖論

2. “解聲” 系字와 한국 고유어의 대응

3. “解聲” 系字관련 “韓-漢準同源語群”의 재구

4. 한국어 祖語의 “解聲” 系漢字창제론

5.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