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KCI등재 학술저널

드라마 <강남 엄마 따라잡기>에 나타난 상상적 메커니즘

Imaginary Mechanism shown in the TV drama show 'To catch up with mothers in Kangnam'

하나의 작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작가는 현실을 선별하고 그것을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플롯화한다. 그러나 그것에 의존해서만 안 된다. 작품을 이루는 데 있어 상상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머릿속에 담고 있는 상상력을 어떠한 시선과 장치로 드러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며 바로 상상적 메커니즘이 작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의도와 목적을 위해 나타내고자 한 작가만의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 ‘보는 자’의 위치에 놓여진 시청자들은 영상을 보고 스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일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이를 위해 드라마 외에 많은 텍스트, 영화, 소설 등을 감상하는 데 있어서도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나의 텍스트·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작가의 의도, 작품 안에서 현실의 시청자들을 향하는 작가 자신만의 독특한 시선인 ‘상상적 메커니즘’은 드라마의 구성 요소인 공간과 인물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부분에서 용의주도하게 기획되어야 한다. 작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강남이라는 공간을 빌려 새롭게 나타내고자 했으며, 화면 속으로는 강남 엄마들, 민주와 그녀의 동창생들만의 이야기처럼 보여지지만 결국엔 그 모습이 한국의 모든 부모들의 모습이라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자녀의 인성과 자녀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꿈을 심어주기 위해 도와주는 부모가 아닌, 오로지 자녀들에게 모든 것의 우선을 교육에 둠으로써 그 외의 다른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한국 부모들의 모습들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보여 진다. 따라서 <강남엄마 따라잡기>는 ‘강남과 강북의 현실적 차이’ 혹은 ‘강남 교육의 실상’를 넘어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을 꼬집기 위해 현실을 선택하고 플롯화한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의도는 드라마를 이끌고 있는 인물들을 통해 잘 나타난다. 등장인물들의 대사, 몸짓들도 결국엔 작가의 의도와 의식을 대변하는 것이 된다. 작가의 총체적인 시선을 담고 있는 대표적 인물은 현민주로서 변화된 의식을 통해 작가는 자신의 세계관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과 인물을 통한 상상적 메커니즘은 영상 매체라는 드라마의 초점에 맞춰 미디어 기술에 의해 현실적으로, 실감나게 플롯화한 것이다.

One of the specialties of TV drama show is that it tells story of routine human life rather than dramatic story and it also reflects reality more than movie. 'To catch up with mothers in Kangnam' exactly shows this kind of characteristics of drama show. By finding the most viable suppression in education system, this TV drama show tells about the past and the present of school education and analyzes vague concept of reality and imagination through mechanism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its story writer 'made up' a reality in new aspect through various characters and situations by using his or her own imagination. Imaginary mechanism, which is a writer's intention to show through a piece of work and a unique point of writer's own view from a piece of work to readers or viewers, is not only planned in space and character but in every aspects of this TV drama show. Its space is Kangnam as a place of story from beginning to end which just looks like it represents the whol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Another terms representing Kangnam like 'Tower Place' or 'the 8th education district' is the present of Korea through the writer's point of view. To show this reality in a new story, the writer utilized a space called Kangnam and it shows the reality of every mothers who desperately care about their children education by telling stories about mothers in Kangnam, Minjoo and her school friends in the screen. These mothers do not actually consider and support their children's dream and goals but they simply struggle to raise their children enough to survive in this society as part of high social class. This is being a reality of this Korean society which the writer tried to express in this TV drama show, not only talking about 'difference between Kangnam and Kangbuk', 'real situation in Kangnam education' but also describing 'problems of education system in Korea as a social issue'.

1. 들어가기

2. 본론

3.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