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논술 지도에서 교사답안 작성이 첨삭 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zing the Impacts of Teachers' sample answers on Essay Editing in Essay Instructions

  • 3
한국국어교육학회_새국어교육.jpg

본 연구는 논술 지도에서 교사의 답안 작성이 첨삭 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연구로써, A집단(교사답안을 작성한 집단)과 B집단(교사답안을 작성하지 않은 집단)을 구분하고, 각 교사의 첨삭 지도 내용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논술 평가 기준(이해ㆍ분석력, 논증력, 창의력, 표현력)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이변량 상관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첨삭 지도 후에는 각 교사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특히 반구조화된 면담을 활용하여, 실험연구 결과로 드러난 통계치의 맥락적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결과로 집단 간의 ‘표현력’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드러내었다. 그 외 교사답안에 대한 만족도, 첨삭 지도 시 중점 항목, 교사가 교사답안을 작성하는 것에 대한 견해, 적절한 첨삭 지도의 분량, 논술 첨삭 지도에 있어 ‘창의력’ 부분에 대한 견해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s of teachers' sample answers on essay editing in essay instructions. In an experimental research which was based on essay editing, there were two groups : group A made teachers' sample answers while group B did not. From the aspect of assessment standard of essay test (understanding ㆍ analytical skills, demonstration skills, creativity, expressiveness), I analyzed meaningful differences by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fter proofreading essays, I interviewed with the teachers. Interview research tried to extract contextual meaning of statistical data which were collected by existing questions and added ones through semi-structural interview. Consequently, 'expression section' made meaningful differences as I expected. In addition to that, such feedbacks in satisfaction of teachers' sample answers, and prior items when teachers look over students' composition and correct it, viewpoints about teachers' own answers that they make, the proper amount of editing, teaching 'creativity section', could be seen.

1. 머리말

2. 논술 지도 및 평가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