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건강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인식론적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하여 정신의료재판 실화를 다룬 영화 ‘55 steps’를 대상으로 Miranda Fricker의 ‘인식론적 부정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론적 부정의의 두 가지 유형인 증언적 부정의와 해석학적 부정의가 모두 나타났고, 증언적 부정의로 신뢰성 결핍으로 인한 부정의와 신뢰성 과잉으로 인한 부정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해석학적 부정의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소통 차단, 접근 불가, 개별화, 자원 부재에 따른 해석학적 주변화가 드러났다. 또한 인식론적 덕인 증언적 감수성과 관련하여 편견을 교정한 인물과 교정에 실패한 인물을 대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증언적 정의 실현을 위하여 대중의 증언적 감수성 개발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정신장애인의 해석학적 주변화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구조적 편견 교정의 필요성, 정신장애인 당사자 활동의 확대 독립정신건강옹호서비스의 확대 실시, 그리고 대안적 정신의료환경으로 소테리아하우스(Soteria House) 모델 적용 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pplied Miranda Fricker’s concept of ‘Epistemic Injustice’ to the movie ‘55 steps’, which deals with the true story of a a psychiatric medical malpractice tr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ntally disabled that occurs in the psychiatric system from an epistemic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types of epistemic injustice, testimonial injustice and hermeneutical injustice, were found. And hermeneutical marginalization due to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inaccessibility, individualization and lack of resources was revealed as a factor causing hermeneutical injustice. Also, in relation to the epistemic virtue of testimony sensibility, it was possible to contrast the person who corrected the prejudice and the person who failed to correct it. According to these results, I argued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stimony sensibility of the public in order to realize the testimonial justice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necessity of correcting social structural prejudice to resolve the hermeneutical marginaliz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expansion of the activiti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the expansion of Independent mental health advocacy services and applying the Soteria House model as an alternative psychiatric environment.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