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북악사론 제17집.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고려 초기청자 요지의 운영체계와 성격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 Early Celadon Kiln Sites: Focusing on Brick Kiln Celadon Sites

DOI : 10.37288/bukak.2023.17.1.5
  • 620

고려 초기청자 요지는 우리나라 청자 제작 초기과정에서 해무리굽완을 포함하여 이와 동반되는 여러 유형의 청자를 생산한 유적을 일컫는다. 1960년대~1980년대는 강진 용운리 9・10호, 고창 용계리, 용인 서리 등이발굴조사되어 출현시기와 중국 월주요와의 비교, 해무리굽 청자완의 형식변화등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에는 배천 원산리・시흥 방산동등 초기청자의 전축요가 조사되면서 가마 구조와 출토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2010년대 이후 최근까지 용인 서리 중덕과 상반, 고창 용계리와 반암리, 진안 도통리 등 초기청자 요지가 재발굴되거나 신규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창 용계리와 용인 서리 중덕은 가마와 퇴적층뿐만아니라 주변 건물지 등 기타 관련 시설 등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면서 초기청자의 운영체계와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은 그동안 발굴조사 현황을 검토하여 고려 초기청자 요지의 입지, 가마・폐기장의 운영체계를 살펴보았다. 고려 초기청자 요지의 입지는 산지성 지형에 위치하며, 가마터의 범위가 매우 국지적이라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가마터는 크고 작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산사면 말단부에 위치한다. 가마터아래로는 평탄부에 공방지와 건물지 등 주변 시설이 자리한다. 고려 초기청자 요지는 가마와 폐기장의 면적이 2,000~5,000㎡ 범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마를 여러 차례 개・보수하거나, 연소실을 이동하는 것은 물론 선행 가마를 일부 파괴하고 가마를 조성하기도 하고, 선행 가마 위로 높게 형성된 갑발퇴적층에 새로운 가마를 조성하였다. 주변으로 동일한 지형이 수 킬로미터에 걸쳐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마와 폐기장은 제한된 범위에서 운영되었다. 이러한 가마와 폐기장의 운영체계는 고려 중기청자 요지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이러한 고려 초기청자 요지의 운영체계는 가마와 폐기장 평탄부에 조성된기와건물지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기와건물지는 전축요계의 초기청자 요지와 고려 중기 강진과 부안의 특정 요지에서만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이 기와건물지의 성격은 고창 용계리에서 출토된 “太平 壬戌”銘 와편을 고려하였을 때 요지의 운영을 監造하는 施設이며, 고려 조정의결정 사항을 아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었던 위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Goryeo celadon kiln site” refers to the remains of sites where various types of celadon, including the bowl with a halo-shaped foot, were produced during the early stages of celadon production i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e Gangjin Yongun-ri No. 9 and 10, Gochang Yonggye-ri, and Yongin Seo-ri sites were excavated,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ate of appearance and comparisons with Yue ware in China, as well as the evolution of the celadon bowl with a halo-shaped foot. After the 1990s, when the early celadon brick kilns in Wonsan-ri, Baecheon, and Bangsan-dong, Siheung, were investigated,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kiln’s structure and excavated objects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early celadon kiln sites such as have been rediscovered or newly investigated. Specifically, in Yonggye-ri, Gochang, and Seo-ri, Yongin, new materials such as kilns and sedimentary layers, as well as other related facilities such as surrounding building sites have been uncovered, shedding light on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eladon. The celadon kilns of the early Goryeo period were located i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range of the kiln site was confined to the local region. The kiln site is typically surrounded by large or small mountains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a mountain slope. On the flat surface area beneath the kiln site, facilities such as workshops and construction sites were located.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cavation research to determine the locations of the celadon sites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as well as the systems of operation of the kilns and disposal sites. The celadon kilns of the early Goryeo period were located i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range of the kiln site was confined to the local region. The kiln site is typically surrounded by large or small mountains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a mountain slope. On the flat surface area beneath the kiln site, facilities such as workshops and construction sites were located. Early Goryeo celadon kiln sites were dispersed over an area between 2,000 and 5,000㎡ containing the kilnand disposal area. The kilns were renovated and repaired multiple times, the combustion chambers were relocated, portions of the previous kilns were demolished, and new kilns were constructed on a saggar sedimentary layer above the previous kiln. Even though the area was surrounded by the same terrain for several kilometers, kilns and disposal sites operated within a restricted area. This system of operation of kilns and disposal sites is distinct from that of mid-century Goryeo celadon sites. The operations of the early Goryeo celadon sites are believed to b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tiled building sites created in the flat part of the kiln and the disposal site. Only a few specific sites, including the early celadon brick kiln site and the mid-century Goryeo celadon sites in Gangjin and Buan. However, based on the “Taepyeong Imsul” tiles excavated in Yonggye-ri, Gochang, it is assumed that this tile-roofed building site was a monitoring facility of the kiln site able to quickly reflect the decisions of the Goryeo court.

Ⅰ. 머리말

Ⅱ. 고려 초기청자 요지 발굴조사 현황

Ⅲ. 초기청자 요지의 입지와 운영

Ⅳ. 기와건물지를 통해 본 운영체계의 단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