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북악사론 제17집.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하남지역 사찰공방 연구

A Study on Temple Workshop in Hanam Region

하남지역에 위치한 삼국~고려시대 사찰 중 천왕사지와 동사지에서 확인된공방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천왕사지 공방은 금당과 강당 사이 공간에기와가마, 숯가마 그리고 동제련로(銅製鍊爐)와 주종유구(鑄鐘遺構) 등이 확인되는데, 사역 안에서 바깥쪽으로 위치를 옮겨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는 사찰 창건기 사역 안에 입지했던 공방들이 중창 이후 회랑 바깥으로 옮겨지지만상시적으로 기와와 숯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지 공방은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건물들이 위치한 지면을 파고 만들었는데, 철기생산을 위한 추정용해로과 주종유구가 확인된다. 이들 공방은 사찰 창건 당시 필요한 기와와법구(法具)를 만들기 위해 한시적으로 운용되었으며, 계속 이어진 모습은 확인되지 않는다. 공방의 위치와 종류 그리고 운용모습으로 볼 때, 천왕사는 관사(官寺)의 성격을 보이며 동사는 귀족의 후원에 의한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고 추정된다. 두 사찰공간 안쪽과 주변 일대에 위치한 공방의 성격을 살펴보면, 사찰에 필요한 물품을 직접 생산하여 공급하는 사찰 부속 공방의 성격이강하며, 이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공인이 존재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사찰 안에 공방이 지속적으로 운영된 모습은 사찰의 규모와도 관련되지만, 통일신라시대 성전사원(成典寺院)처럼 당시 국가나 지방관청에서 지원을 받은 관사(官寺)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orkshops found in the Cheonwangsa Temple Site and Dongsa Temple Site among the temples of the Three Kingdoms and Goryeo Dynasty periods in the Hanam region. In the workshop of Cheonwangsa Temple Site, a tile kiln, a charcoal kiln, a copper furnace, and remains of bell-casting facilities can be foun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hall and the lecture hall. From these remains, it is presumed that the workshop inside the temple's precinct during the temple's founding period was moved outside the temple site after the remodeling but continued to supply tile and charcoal. The Dongsa Temple Site workshop was constructed by digging the ground where buildings were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 furnace presumed to have been used for iron production and remains of bell casting facilities were found. These workshops were operated temporarily to make roof tiles and dharma crafts needed at the temple's foundation. There is no trace that they were continued afterward. Considering the workshops' location, type, and operation, Cheonwangsa Templ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government office. It is presumed that Dongsa Temple was founded as a memorial temple sponsored by nobles. The workshops inside and around the two temple spaces are presumed to be auxiliary facilities that directly produce and supply items needed by the temples. It is deemed that professional craftsmen operated them. The operation of these workshops was related to the size of the temples.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 government office suppor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t the time, like the Seongjeon Sawon (temple with the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construction, repair, and operation of temples)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Ⅰ. 시작하며

Ⅱ. 연구사

Ⅲ. 하남지역 불교 사원과 사찰공방

Ⅳ. 사찰공간과 공방의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