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감 변화에 따른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A Study on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 Adolescents: Using the 17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1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2호
-
2023.01383 - 395 (13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2.383
- 84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청소년의 우울감 변화에 따른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긍정적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제17차(2021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제공받은 이차분석연구이며, SPSS/WIN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우울감의 변화는 여학생, 고등학생, 높은 성적, 낮은 경제수준, 고학력의 부모일 때 증가했다. 둘째, 우울감이 감소한 청소년은 신체활동(1.13배)과 음주(1.13배)가 증가했으며, 흡연(0.89배)은 감소했다. 셋째, 우울감이 변화된 청소년은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손상이 증가했으며, 우울감이 증가한 청소년은 주중 수면시간(1.64배)과 주말 수면시간(1.28배)이 증가했다. 특히 우울감이 증가한 청소년은 슬픔과 절망감(4.23배), 자살생각(5.37배), 자살계획(4.16배), 자살시도(4.98)가 모두 증가했다. 결론 코로나19 유행으로 우울감이 변화된 학생들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교육프로그램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ir positiv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that received raw data from the 17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1. It was analyzed through complex samples frequency analysis, complex samples cross-tabulation, and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0 program. Results First,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increased in gir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record, low economic level, and high-educated parents. Second, adolescents with decreased depression increased in physical activity(1.13 times) and drinking(1.13 times) but decreased in smoking(0.89 times). Third, adolescents with depression change increased in smartphone use hours and damages by smartphone use. Adolescents with increased depression increased in weekday sleep time(1.64 times) and weekend sleep time(1.28 times). In particular, adolescents with increased depression increased in sadness and hopelessness(4.23 times), suicidal thoughts(5.37 times), suicide plans(4.16 times), and suicide attempts(4.98 tim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digital platfor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of students with depression change due to COVID-19.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