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9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과 교환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ed burnished pottery :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m River and Geum River

청동기시대 중기 수전 농경의 도입과 집약화된 생산은 청동기시대의 사회, 정치, 경제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하였다. 저장과 잉여의 증가, 주거 방식, 취락 구조의 변화, 위계의 형성과 같은 연쇄적 변화를 수반하였으며, 물류의 생산과 교환체계는 이러한 변화상을 추적하는데 있어 결정적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적색마연토기라는 특수 용기 주목하여 청동기 사회의 생산과 교환체계에 접근하고자 한다. 적색마연토기가 가지는용도와 상징성, 제작기술을 고려하였을 때, 전문 공인을 기반으로 한 생산-교환체계를 상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동기시대중기 가장 대표적인 금강유역과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중기 유적들을 대상으로 두 지역 간 공통성과 차별성을 비교·검토한다. 변동계수와(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여 시기와 기종에 따른 토기 생산의 표준화의 정도를 검토하고, 감쇠곡선(fall-off curve)을 통해 적색마연토기의 생산체제 및 소비처(생활유구와 매장유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두 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에 이르면 이전 시기 및 무문토기와 비교하여 표준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를 통해 토기 생산의 체계화를 추정할 수 있다. 남강 유역의 적색마연토기를 매개로 한 생산-교환 범위는 전-중기에 걸쳐 대평리를 중심으로 확대와 축소를 겪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남강을 따라 분포하는 중·대형 취락이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금강유역에서는 송국리유적과의 직접적인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적 좁은 생산-교환체계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지역에서 확인되는 차이는 토기의 소비를 비롯하여 거점취락의 역할, 지역통합 네트워크의 차별성과 같은 여러 사회경제적 요소들이 복합된 결과로 판단된다.

The introduction of farming method using paddy field and the intensive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mid- Bronze Age brought about major changes in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in the Bronze Age. The increase in production involved a series of changes in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such as storage and surplus, housing style, village structure and formation of hierarchies.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and exchange system of logis- tics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a decisive clue for this pattern of change. This study aims to approac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n the society of the Bronze Age by pay- ing attention to a special container called red-burnished pottery.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use and symbolism, the official recognition for making skill and the systemized production-exchange system of red-burnished pot- tery. The commonal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remains of the Geum River basin and the Nam River basin are compared and reviewed in the middle Bronze Age for this purpose. The degree of stan- dardization of pottery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iming and model is review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 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system and places of consumption of red-burnished pottery is analyzed through the fall-off curve. Towards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in the two regions, it is understood that standardization is underway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plain pottery, through which the systematization of pottery production can be presumed. It is supposed that the production-exchange range of red-burnished pottery in the Nam River basi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expansion and reduction centering around Daepyeong-ri over the early and mid- term, in which process medium and large villages distributed along the Nam River seem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Geum River basin, it is assumed that a relatively narrow production-exchange system was formed based on direct exchange with the Songguk-ri. The differences found in the two regions are judged to be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several socioeconomic factors like the role of central villages and the differentiation of regional integrated networks including the consumption of pottery.

Ⅰ. 머리말

Ⅱ. 적색마연토기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론

Ⅲ. 남강유역·금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분포양상 검토

Ⅳ. 남강유역·금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교환 체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