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유라시아 사회에서 죽음은 상당히 흡사한 양상으로 전개되어왔다. 죽음을 근원으로 회귀, 새로운 시작으로 보는 시각은 외래 종교가 유입되기 이전부터 러시아-유라시아 민중들 사이에서 널리 나타났다. 이는 죽음에 대한 민중의 관조적 태도를 설명해준다. 공동체 안에서 죽음을 평온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는 러시아 민중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여러 민족들에게도 발결되던 특성이었다. 그러나 공통체 사회가 해체되고 죽음이 개인의 일이 되면서 죽음은 점차 공포의 대상이 되어간다.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는 것을 알지만 죽음의 실체를 알지 못하며 그래서 차라리 죽음이란 현실을, 죽음이란 말을 회피하고 싶어한다. 죽음은 인간이 전 생애동안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 중 마지막 절차로서 러시아-유라시아 지역 사람들은 이 마지막 통과의례를 정성스럽게 치러왔다. 이곳의 장례문화는 지역과 민족에 따라 상당히 큰 편차를 보이지만, 죽음과 관련된 보편적 문화도 드러난다. 죽음 혹은 죽은 자에 대한 공포와 동경이라는 양면적 태도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Chun, Ho KangIn Russian-Eurasian society, death has developed in a very similar way. The view of seeing death as a return to the root and a new beginning was widespread among the Russian-Eurasian people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foreign religions. This explains the people's contemplative attitude toward death. The attitude of accepting death peacefully in the community was a characteristic found not only in the Russian people but also in many peoples of Eurasia. However, as the community disintegrates and death becomes an individual matter, death gradually becomes an object of fear. Human beings know that everyone dies, but he does not know the reality of death, so he would rather avoid the reality of death and the word death. Death is the last step among the rites of passage that humans must go through throughout their lives, and people in the Russian-Eurasian region have carefully performed this last rite of passage. The funeral culture here shows considerable variation according to region and ethnicity, but a universal culture related to death is also revealed. It is so in that it contains the dual attitude of fear and longing for death or the dead.
1. 들어가며
2. 러시아의 장례문화
3. 시베리아 지역의 장례문화
4. 추모식
5. 매장방식
6.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