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이해와 실제 적용 방안 제안 및 해설

A Study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apacit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 2nd Unit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 Proposal of Practical Applications and Explanation: Focusing on Sandel's Theory of Justice and Kohlberg's Moral Debate Class Model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과 이를 교과용 도서에서 적용하고있는 6학년 단원 2에 대해 이해하고, 실제 적용 방안을 제안하며 그 제안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용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역량 중심 자율형통합 심화 단원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의 대표적인 사례로서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실제 적용할수 있는 새로운 방안과 그에 대한 해설을 연구자의 안목을 통해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교과용 도서에서 접근한 방향과 다른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에 대한 예시를제안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핵심 가치인 정의와 중심 역량인 도덕적 사고력을 중점으로 표현하는 것이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단원의 목표와 내용, 방법으로 구성하기 위해 Sandel 정의론의 내용과전개 과정 그리고 Kohlberg의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과 딜레마를 적용하는 방안이 타당할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제안에 대한 부가적인 도덕 교과 교육적 해설은 도덕 수업 현장에서 유의미한 참고자료로 활용될것으로 보인다. 결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표현된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예시의 제안은 초등학교도덕과 교육에서 새로운 의미의 안목을 자율적이며 창의적으로 재창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 unit and the 6th grade 2nd unit applied in the textbook,propose practical application plans, and provide commentary on the proposal. Methods: To this end, the meaning of a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 unit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2015 moral curriculum to the school field was explored. A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 2nd unit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was also exami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unit. Through this, a new plan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and a commentary on it were proposed. Results: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n example of a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deepening unit, that was unlike the direction approached in the existing textbook. It was judged tobe appropriate to focus on justice as a core value and moral thinking ability, which is central tocompetency. In order to organize the example into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unit, it wasconsidered appropriate to apply the cont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Sandel's justice theory, andKohlberg's moral discussion class model and dilemma. In addition, the additional moral subject educationexplanation of the proposa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eaningful reference in the morals class. Conclusion: The example of a competency-centered autonomous integrated deepening 2nd unit resultingfrom this series of processes is expected to provide new meaning for perspective, both autonomouslyand creatively, in moral subjec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Ⅰ. 서 론

Ⅱ.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이해

Ⅲ.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에 대한 실제 적용 방안 제안

Ⅳ.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 제안에 대한 핵심 가치와 내용적 해설: Sandel의 정의론

Ⅴ. 초등학교 6학년 도덕 역량 중심 자율형 통합 심화 단원 2 제안에 대한 방법적 해설: 딜레마와 Kohlberg식 토론과 Sandel식 논의 방법

Ⅵ.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