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Dewey의 ‘하나’의 경험 개념에 비추어 한국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반성하고, 규범적인 관점에서 향후 교육실습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먼저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 다룬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Dewey의경험 이론 중 ‘하나’의 경험 개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들을 종합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반성하고 그에 대한 과제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Dewey의 ‘하나’의 경험 개념을 고려할 때 한국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은 매우 분절적이고수동적이며 불완전하다는 점을 반성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이 ‘하나’의 경험이되기 위한 과제는 예비교사들이 경험의 연속성을 기반으로 자신들의 자아와 실제를 통합할 수 있도록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 불완전한 경험이 완전한 ‘하나’의 경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시간을확보하는 것, 예비교사들의 경험이 능동적이고 지적인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탐구 중심 교육실습으로 전환하는 일이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행해야 할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그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 분석한 현상적 연구들과 달리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of Koreanpre-service teachers in light of Dewey's concept of an experience, and present tasks for the developmentof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in the futur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educational practicum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findings were thenanalyzed the concept of ‘an experience’ in Dewey's empirical theory. Through the synthesis the experiences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reflected upon and tasks were concidered for them. Results: When considering Dewey's concept of an experience, it was reflected that the educationpracticum experience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was very fragmented, passive, and incomplete. As a result, three tasks were presented for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acticum experienceto become an experience : 1) Reorganizing the curriculum so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integratetheir self and reality based on the continuity of experience, 2) Securing education practicum time sothat incomplete experiences can fully become a complete an experience 3) Transitioning from tutor-centered education to an inquiry-oriented education practicum so that the experience of pre-serviceteachers can become an intellectual experience through active, intellectual, and creative thinking.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performand presented tasks for 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theoretical approach, unlikephenomenological studies that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racticum experiences.
Ⅰ. 서 론
Ⅱ. 듀이의 ‘하나’의 경험 이해
Ⅲ.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반성
Ⅳ. ‘하나’의 경험을 위한 교육실습의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