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수내용지식(PCK)에 따른 유아문학 대학교재 분석

An Analysis on the PCK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DOI : 10.23079/2021.07.02-07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9년 개정 누리과정 이후부터 2021년 10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유아문학교육 대학교재를 Shulman(1987)의 교수내용지식(PCK) 하위 범주 6개를적용하여 분석하고 현재 예비교사에게 제공되고 있는 교수지식은 무엇이며, 문학교육을위해 요구되는 교수내용지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총 15권의 「유아문학교육」 교재를 교과내용지식(교과내용), 교육과정지식(국가수준교육과정), 교수내용지식(교수계획 및 운영과 평가), 학습자지식(발달이론), 교육적 맥락지식(교실환경), 교육목적에 대한 지식(목표와 역사)으로 6개 범주화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15권에 담긴 교과내용지식은 장르, 문학관련 이론 및 그림책에 관련지식이며 장르는 93%의 교재에서 다루고 있었다. 교육과정지식은 2019 개정누리과정을포함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67%의 교재에서 나타났다. 교수내용지식 가운데 교수계획 및 운영에 대한 지식에 비해 교수평가는 27%의 교재만 다루고 있어 평가에 대한 지식전달이 부족했다. 학습자지식 범주에서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이 특정 발달 이론 지식에 비해 강조되는 경향이 있었다. 수업환경을 포한한 교육적 맥락지식과 교육 목적에대한 지식은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고 있었다. 연구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문학교육 교재를 구성하고 있는 교수내용지식이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고, 예비교사에게는 문학 자체에 대한 지식과 실제 수업에서의활용에 대한 지식, 문학교육을 둘러싼 교육과정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식 모두가 필요하며,이를 통해 ‘문학을 통한 교육’이 아닌 ‘문학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of children’s literature used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raining according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Methods: For this purpose 15 textbooks of children’s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from 2019to 2021 were selected from portal sites, internet bookstores, and publishers. This researchsubjects were presented as content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knowledge of learners,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 knowledge ofeducational purposes. Results: Content knowledge is related to genre, literature theory, and picture books, andgenres were covered in 93% of textbooks. Curriculum knowledge appeared in 67% oftextbooks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including the 2019 Revision Nuri Curriculum. Among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ared to the knowledge on teaching planning andoperation, assessment only covered 27% of textbooks, so knowledge about assessment wasinsufficient. In the knowledge of learners ,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young children tended to be emphasized compared to knowledge of specific developmentaltheories.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including class environment and knowledge ofeducational purposes were covered in most textbooks.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what the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constitutes the textbook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education was, and for pre-service teachers, the knowledge of literature itself and its usein actual classes, the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literature education. Itis necessary to have all knowledge of the subject, and through this, it came to be recognizedthat ‘literature education’ is possible, not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