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보육실습’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Trends of Studies on Child Care Practices

DOI : 10.23079/2016.02.01-02
  • 2

본 연구는 '보육실습’관련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2003년 1월부터 2016년 6월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보육실습 관련 논 문 4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보육실습 관련 연구는 2009년에 8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2005년에 0편으로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며, 보육실습 기준이 더욱 강화되는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보육실습 관련 연구의 목적은 의미탐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개발과 원인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논문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보다 다양한 목적의 연구 가 골고루 수행되어야 할 것이 요청되었다. 셋째, 보육실습 관련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가 양적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됨으로써, 양적연구 또한 중요하게 수행되어야 함이 요청되며, 지 금까지 수행되어 온 질적 연구의 결과들이 앞으로 보육실습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충실하게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넷째, 보육실습 관련 연구의 대상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편중되어 있어서, 보육실습을 둘러싼 중요한 인적 환경인 실습지도교사, 원장, 교수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보다 많이 수행되어야 함이 요청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child care practices. Thus, 41 researches about child care practices were analyzed which were published in journals form January 2003 to June 2016 in Korea in the field. These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frequency, purpose, method, and subject. First, researches on child care practices were studied most intensely in 2009 and there was none in 2005. specifically focused on nursery. Because the standards of child care practices are being strengthened nowadays, recent researches on child care practices tend to be increased. Second, in terms of research purpose, studies mostly dealt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s of child care practices. There were the least number of researches whose purposes were to develop a program or to find out the cause of its failures. Third, to mention their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es outnumber the quantitative ones. Still, quantitative researches are also important,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ies, carried out so far, should be utilized faithfully to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child care practices. Fourth,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pre-service teachers. So, more stud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on the various important parties of child care practices such as practice guidance teachers, directors, professo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