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시장 위생공간의 구성

Constitution of Sanitary Space in Traditional Market: A Case of Seomun Market in Daegu

이 연구는 대구의 전통상설시장인 서문시장을 대상으로 공간의 변화를 주도하는 이들이 말하는 깨끗함과 더러움의 이분법적 논리가 가시화되어 나타나는 ‘위생’의 개념이 어떻게 공간에 작동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구성하고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섬유관련 품목 중심의 대형시장에서 시장의 한귀퉁이에 집중되어 지금은 점차 그 세가 줄어가는 양곡을 취급하는 상가와 상인, 그리고 거의 해체되어버린 생닭을 취급하는 상가와 상인들이 구성하고 있던 시장 골목의 모습을 통해 경계의 생산과 그로인한 공간의 범주화, 그리고시장의 공간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특히, 화재로 전소한 상가를 재건하면서 기존의 시장과 다른 공간가치를부여하고, 시장공간을 상품화하면서 비위생의 공간으로 범주화한 일부 공간을위생공간화하는 과정은 공간적·사회적 경계가 창출, 해체, 제구성되는 양상과관련되며 새로운 시장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양곡상과 함께 양곡골목을 형성하던 닭전상과 노점상들을 해체하여 가시적으로 깨끗한 공간을 조성하였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상대적 반발을 위생의논리로서 무마하고 정당화하고 있다. 또한 깨끗함과 더러움으로 중심과 주변을 구분짓던 기존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유연해지면서 양곡상이 오히려 비위생의 장소로 지적받는 이중적 공간질서가 확인된다. 서문시장의 관할 구청과 상가상인들이 말하는 위생담론은 공간권력의 논리로 작동하여 양곡골목은 위생화된 공간으로 통제되었다. 이는 한편으로 유리한 제도적 관리를 위한 국면으로의 조정이기도 하다. 그러가하면 전통시장의위생공간화는 공간의 규범화를 촉발하여 특징적 공간성을 약화시키는 배경이된다. 공간주체들의 정당한 공간적 요구에 대한 목소리를 진중하게 들어줄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concept of ‘sanitation’, as spoken of by those who lead change in space, operates in space and creates and constructs new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Seomun Market in Daeg u. For thi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es of the Yang-gok Alley in Seomun Market were traced and aspects of how the placeness of Yang-gok Alley was restructured were observed. At this, the following aspects could be understood. First, g rain merchants of Seomun Market have continued to conduct business in Seomun Market since it was first formed until now and they have formed their space but the grain merchants of Seomun Market have experienced fluctuations following changes in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y and currently, grain merchants and the Yang-gok Alley have become established as marginalized presences in the Seomun Market, in which textile businesses have become the center. Second, while butchery merchants and street vendors, who formed Yang-gok Alley alongside the grain merchants, have kept their place and have maintained business despite conflicts with surrounding merchants, they have been disbanded, unable to withstand pressure from the Jung-gu Office, the Merchants’ Association, and surrounding merchants as the 2nd District shopping area was burnt down by a fire and reconstructed and the space of the Yang-gok Alley is also being newly formed. Third, as the 2nd District was being reconstructed, the butchery shops were disbanded throug h the cultural and political log ic of sanitary spaces and as the placeness of the Dak-jeon Alley became lost, the placeness of the Yang-gok Alley also changed. Also, as the placeness of stor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coffee shops was attached, the placeness of Yang-gok Alley in the current Seomun Market is being reconstituted.

Ⅰ. 머리말

Ⅱ. 위생개념의 수용과 사회적 구성

Ⅲ. 양곡골목의 위생공간화

Ⅳ. 전통시장 위생공간의 구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