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명령 및 구성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mmand and Constructional Praxis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 496
문화와 융합 제45권 1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원예치료가 노인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20명을 실험군 그리고 1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원예치료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알츠하이머병 평가척도-인지영역 예비판(Alzheimer’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ve subscale-preliminary Korea version, ADAS-cog-K)을 사용하여 명령 및 구성행위에 따른 변화로 측정하였다.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의 대조군과 실험군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은 명령과 구성행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집단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명령 및 구성행위에 대한 인지항목의 변화의 결과 명령의 경우 점수는 실험 전 평균 3.33점, 실험 4주 후에는 2.10점, 8주 후에는 2.60점, 그리고 12주 후에는 1.98점으로 나타났다. 구성행위 경우 실험 전 평균은 3.55점이었고 실험 4주 후에는 2.85점, 8주 후에는 2.25점 그리고 12주 후에는 1.35점을 보였다. 두 항목 모두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수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집단 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of day-care center. Twenty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elonging to day-care center in this program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0 people as a control group, and data were taken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HTP).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by changes according to command and constructional praxis using ADAS-cog-K. As a result of the homogeneity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ame group. On the level for command, the average was 3.33 before HTP, 2.10 after HTP at 4 weeks, 2.60 after 8 weeks and 1.98 after 12 weeks. On the level for constructional praxis, the average was 3.55 before HTP, 2.85 after HTP at 4 weeks, 2.25 after 8 weeks and 1.35 after 12 weeks. Both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levels as the session progress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group (p<.001).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