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 담론과 신약성서의 파레시아
Michel Foucault's Discourse on Paresia and the Parrhesia of the New Testament: Focusing on Parrh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이 글은 미셸 푸코에 의해 새롭게 환기된 파레시아 담론을 숙고하여 신약성서 사도행전에 나타난 파레시아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는 말년에 파레시아의 개념을 새롭게 부각시켰다. 푸코는 고대 그리스 민주정에서부터 근대 생명정치에 이르기까지 파레시아의 계보를 탐구했다. 푸코는 정치, 교육, 우정, 자기돌봄의 영역과 관련하여 파레시아를 설명했다. 이 글은 푸코가 논의한 정치, 교육, 우정, 자기돌봄에서의 파레시아를 하나님 나라의 정치, 성서의 해석과 교육, 하나님 나라 백성과의 연대(우정),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의 충실성(자기돌봄)에서의 파레시아로 변주하여 사도행전에 나타난 파레시아를 탐구한다. 이상의 탐구를 통해 사도행전의 파레시아에서 정직성, 솔직함, 진실성의 뉘앙스를 새롭게 부각시키며, 탈진실 시대의 기독교가 파레시아적 교회가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parrh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by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parrhesia newly aroused by Michel Foucault.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re-emphasized the concept of parrhesia in his later years. Foucault explored the genealogy of Parrhesia from ancient Greek democracy to modern biopolitics. Foucault explained parrhesia in terms of politics, education, friendship, and self-care. This article is about parr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the politics of the kingdom of God,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of the Bible,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the kingdom (friendship), and fidelity of faith in God and Jesus Christ (self-care).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nuances of honesty and sincerity are newly highlighted in the parrhesia of Act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Christianity in the era of post-truth must become a parrhesian church.
1. 들어가며
2.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 담론
3. 신약성서의 파레시아
4. 사도행전의 파레시아
5. 나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