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고의 목적은 문화서비스 중 공연서비스의 발전과 수출 확대의 기반이 될 새로운 공연무역 모델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최근 한국무역을 둘러싼 세계무역환경의 변화에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고 있다. 특히 게임, 만화, 음악, 드라마 장르 중심의 콘텐츠 수출 증가는 새로운 한류의 중흥을 가져왔기에 그 어느 때보다 K-콘텐츠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실현해 줄 차세대 성장엔진에 대한 연구과 실행이 중요하다.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IP 프랜차이즈 효과와 높은 산업연관효과를 지닌 공연콘텐츠에 주목하고 공연의 수출 확대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본 고는 공연콘텐츠의 서비스적 특성을 GATS의 서비스공급방식과 EBOPS 서비스분류를 참고하여 공연서비스의 수출입, 즉 공연무역의 유형에 상응하는 서비스 범주를 규정하여 공연콘텐츠를 서비스상품 혹은 산업적 측면에서만 다루었던 기존 연구 및 이론과 차별화하고자 했다. 그리고 John Holden의 문화생태계 모델, 공연산업 관련 가치사슬 및 서비스가치네트워크, 그리고 영국 사례를 분석하여 기존 모델의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공연콘텐츠의 서비스적 특성을 반영하고 5가지 가치사슬 단계별 주체와 네트워크의 유기적 상호연결과 다층적 생태계의 열린 선순환을 함축한 공연무역 가치사슬 생태계 모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new value chain ecosystem model of performing arts services trade (hereafter as PAST). The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round Korean trade represent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Specially recent increase in content exports of games, animations, music, and drama genres has brought about a new renaissance of the Korean Wave. It means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and implementation on next-generation growth engines that will continuously realize the growth of K-contents is getting bigger. As seen in the case of the UK, performing arts content creates variou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high economic effects, which means it’s necessary for Korea to find out how to expand exports in performing arts content. This paper defined the features and areas of performing arts content as not a good but a service, based on GATS and EBOPS classifications. Also it reviewed preceding studies on performing arts industry, theories on value chains and service networks, Holden’s cultural ecosystem models, and UK’s case. Finally the paper concluded that a new PAST model has structure of double-layered ecosystem and five-stage of value chains.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공연콘텐츠의 문화서비스적 특성
3. 가치사슬 생태계에 관한 일반론
4. 공연무역 가치사슬 생태계 모델
5.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