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고에서는 임진왜란시기 팔공산회맹과 팔공산전투의 제반 과정과 작품들을 고찰한 것이다. 팔공산회맹은 지금까지 1596년(선조 29) 3월과 9월에 두 차례 이루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에 1592년(선조 25) 9월과 1594년(선조 27) 9월에 두 차례 더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팔공산회맹은 1596년(선조 29) 3월에만 관에서 주도하였고, 나머지 3차례는 모두 의병장들이 자발적으로 이끌어갔다. 1597년(선조 30) 9월에 팔공산전투가 펼쳐지자, 팔공산회맹에 나선 의병장들이 주축이 되어 일본군을 물리치는 큰 전공을 세웠다. 팔공산회맹에 참여한 의병장들이 회맹 기간에 각자 호연지기를 펼치면서 우국충정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1596년(선조 29) 9월 의병장 회맹의 작품은 크게 화창시 계열과 연시 계열로 나눌 수 있다. 팔공산회맹과 팔공산전투는 의병들의 조직과 활동을 한 눈에 알려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팔공산 지역에는 이것들을 밝혀주는 역사 공간이 없다. 조속한 시일 내에 팔공산 지역에 팔공산회맹과 팔공산전투를 재조명하는 역사 공간이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Mt. Palgong Meetings among war leaders of Korea, the general process of battles in the mountain, and literary works of meeting participants during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to Korea, 1592~1598; 壬辰倭亂). It has been known that Mt. Palgong Meetings were held two times - in March 1596(the 29th year of the King Seonjo 宣祖) and September 1596. Bu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eetings were held two more times - in September 1592(the 25th year of the King Seonjo) and September 1594(the 27th year of the King Seonjo). Among the meetings, only what was held in March 1596 wa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the other three meetings were voluntarily led by volunteer army leaders. At the battle in September 1597(the 30th year of the King Seonjo), those leaders who had participated in Mt. Palgong Meetings led the volunteer soldiers in defeating the Japanese troops. At Mt. Palgong Meetings, voluntary army leaders would express their visions about the world and the country with many patriotic literary works. The works of such leaders written at the meeting of September 1596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responsory and presenting poems(和唱詩) and linking verses poems(聯詩). While Mt. Palgong Meetings and Mt. Palgong battles were important historical accidents which would allow us to grasp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volunteer armies, there remains no such historical space in the Mt. Palgong region.
1. 서 론
2. 1592년 9월 팔공산회맹
3. 1594년 9월 팔공산회맹
4. 1596년 3월 팔공산회맹
5. 1596년 9월 팔공산회맹
6. 1597년 9월 팔공산전투
7.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