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임차인 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of Tenants according to Commercial Gentrification

  • 61
住居環境 제20권 제4호 (통권 제58호).jpg

낙후되어 점점 발길이 끊어졌던 골목이 개성있고 독특한 아이템으로 승부를 거는 소자본 창업자들에 의해 새로운 상권으로 탄생되기도 한다. 이는 또다시 사람들을 불러들이고 도시에 활기를 불어넣어, 다시 한 번 도시를 성장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한다. 이때 건물주들은 임대료를 인상하기 시작하고, 권리금도 치솟으며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된다.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지역 중 원조격이지만 지금은 쇠퇴의 기로에 있는 경리단길과 지자체의 성공적인 도시재생으로 전주시의 경제적 동력이 되고 있는 전주한옥마을, 2017년 뉴욕타임즈에 올해 꼭 가보아야 할 곳으로 선정되어 부산의 명소로 떠오른 전포카페거리, 발길이 뜸했던 경주로 다시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는 황리단길, 이와 같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여 성장하고 있는 지역,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지역 등 전국의 대표적인 4곳을 사례지로 선정하였다. 사례지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고 쇠퇴하는 공간적 특성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단계별, 업종별, 점유형태별, 영업기간별 임차인 이동 의향을 분석하고 방문객의 해당지역에 대한 인식과 소비행태와 장소선택의 성향을 분석하였다.

The old alleys, which have been gradually cut off, are sometimes created as new commercial districts by small-cap entrepreneurs who compete with unique and unique items. It once again attracts people and invigorates the city, once again acting as a driving force behind the city's growth. At this time, landlords start to raise rents, soaring rights, and commercial gentrification occurs. Among the areas where commercial gentrification occurred, Gyeongnidan-gil, Jeonju Hanok Village, Jeonpo Cafe Street and Hwangnidan-gil. Four representative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regions, were selected as example sites. Tenants who have activated existing commercial districts with cultural sensibility cannot afford the increased rent and move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Alley commercial areas across the country where commercial gentrification took place in large and small areas are changing in a similar pattern. Therefore, this study studied the movement of tenants according to commercial gentrifi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설정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