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2_waifu2x_art_noise1.png
KCI등재 학술저널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통일교육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Process of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 409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은 그 학습과정에서 배경 지식, 교과서를 통한 통일 의지 강화, 건전한 통일 논의를 받아들이는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2022학년도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은 통일을 강화하고 기초적으로 분단의 이후 모습을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기초 지식을 반영하여야 한다고 하겠다. 실질적으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동에서 기초적인 통일논의와 도덕과 교육에서의 중요한 교수 학습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오늘의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은 현 상황에 입각한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포함한 새로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선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도덕과 통일교육은 학습 과정을 지향하면서 건전한 통일, 평화, 안보관을 초등학생에게 발휘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background knowledge, reinforcement of the will for unification through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that accept sound unification discussions in the learning process. Therefore, it is said that elementary moral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2022 should reflect important basic knowledge that strengthens unification and basically grasps the post-division situation. Practically, elementary morality and unification education seeks to grasp the basic unification discussion and the influence of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in morality education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this sense, today’s elementary morality and unification education will have to find ways to improve in the new 2022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 this sense, morality and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should be oriented toward the learning process and should en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sound views on unification, peace, and security.

Ⅰ. 서론

Ⅱ. 현행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의 배경 지식의 현황

Ⅲ. 도덕과 통일교육의 수업 과정과 적용 이해

Ⅳ. 202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통일교육의 지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