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henomenon of deviant tourist behavior. This tourist behaviour is seen as being deeply related to tourists’ inherent propensit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playfulness. In order to understand tourist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deviant tourist behaviour and tourist satisfaction were analysed from a total of 1148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higher playfulness of tourist influences on more deviant tourist behaviour. Otherwise stated, deviant tourist behavior is a desire for hedonic value; one such is playfulness as an approach of hedonic value. Thus, human beings' playfulness influences on their behaviour in tourist destinations. Moreov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deviant tourist behaviour and tourist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re was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iant behaviour and satisfaction. As it could be stated, tourists whom indicated social deviant experiences at tourist destinations, they could experience greater legal and social risks which could reduce their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internal deviant tourist behavior, there wer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alysis further showed that more commitment in the tourism, the tourist satisfaction was more increased.
목차
I. 서론
II. 문헌 연구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관광지 방문객 보고통계의 통계적 추정에 대한 제언
- 여가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특성과 효과
- 템플스테이체험관광이 관광만족, 추천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짓기 양상 변화
- 커뮤니케이션 정보소구방법의 차이에 따른 문화유산 해설판의 유효성 비교
- 도보여행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외래관광객의 한옥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관광학 연구방법과 통계적 기본가정
- 자전거이용의 제약, 참여정도,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북한산 국립공원내 케이블카 조성의 찬반론의 고찰
- 종교 주제 축제 방문객의 종교에 대한 태도변화
- 고려시대 원(院)에 대한 연구
- 게임형 스마트 폰 관광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U-관광서비스의 체험성, 만족 및 태도변화의 관계
- 다크투어리즘 참가자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 놀이성에 따른 일탈적 관광행동의 차이분석
- TV 드라마 속성이 관광 목적지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