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멀티모달코퍼스 언어연구와 채팅대화분석

Multimodal Corpus Language Research and chatting Conversation Analysis

  • 85
인간과 자연 제3권 제2호.jpg

본 연구는 아래의 몇 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1) 인간의 언어 의사소통은 사회적 행위이다. 2) 인간은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세계(인간을 포함)와 멀티모달적으로 상호작용한다. 3) 언어는 제로모달리티성(amodal)으로 인해 다른 모달리티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Verschueren의 화용론적 관점과 Gu, Yueguo의 멀티모달코퍼스언어학(multimodal corpus linguistics)의 연구방법인 시뮬레이션 모델링(simulative modeling), 언어표현의 일치원리(言思情貌整一原则:언어생각감정모습의 일치원리)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SNS 채팅대화를 분석한다. 구어의 특징이 반영된 채팅대화는 사진과 이모티콘을 통해 정서를 표현하는 등 역동적으로 의미를 생성하였고 일방에 의해 단절되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following several premises. 1) Human verbal communication is a social act. 2) Humans interact multimodally with the outside world (including humans) through their sense organs. 3) A language can express data of different modalities due to its zero modality (amodal). This paper introduced Verschueren's pragmatic point of view, Gu's simulative modeling of multimodal corpus linguistics research method, and the principle of coincidence of language expression(言思情貌整一原则). Based on them, SNS chatting conversatio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dynamically were analyzed.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hatting conversations generate meanings by expressing emotions through photos and emoticons and are discontinued by one party.

1. 들어가기

2. 본 연구와 관련한 언어학, 심리학 이론

3. 멀티모달 채팅대화분석

4. 나오기

(0)

(0)

로딩중